제213회 달성군의회(제2차 정례회)
달성군의회사무과
2012년 11월 27일(화) 10시
의사일정(제2차 본회의)
1.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
부의된 안건
1.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군수제출)
(10시00분 개의)
○의장 배사돌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제213회 달성군의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개의합니다.
1.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군수제출)
○의장 배사돌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을 상정합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 계획된 부서의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받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주민지원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민지원과장 추교훈 주민지원과장 추교훈입니다.
주민지원과 소관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05쪽입니다. 먼저 주민생활 지원 및 복지시설 운영 지원입니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통한 민·관 연계·협력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매년 연차별 지역사회 복지계획을 수립 운영하였고, 달성군 종합사회복지관 운영 지원에 7억 8,800만 원, 대구요양원 운영 지원에도 5억 6,7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또한 재단법인 달성복지재단 운영 지원에도 힘써 복지시설 간 연계·교류 및 관련단체와의 협력 지원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107쪽입니다. 국가 헌신에 보답하는 보훈행정 추진입니다.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등을 지원하였고 보훈단체 보조금 지원과 보훈단체·대상자 국립묘지 참배 지원, 보훈단체 사무실 운영비 지원에는 8,1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유치곤 장군 호국기념관 관리와 충혼탑 신년참배, 현충일 추념식, 6.25전쟁 기념식 등 호국보훈행사 개최 및 지원에도 차질 없이 지원하였습니다.
108쪽입니다. 복지대상자 통합조사·관리를 통한 주민 편리성 제고를 위하여 신규 및 변경대상자 조사 8,692가구를 조사하고 영유아 보육료,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기초노령연금, 장애인연금 등 공적자료에 의한 복지대상자 관리 및 확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109쪽입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저소득층 지원에는 10월 31일 현재 국민기초수급권자 현황은 2,810가구에 5,145명에 대한 생계급여 등 수급자 지원 136억 4,900만 원을 지원하였고, 차상위계층 지원, 저소득층 의료급여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신입생 자녀 교복비를 지원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또한 저소득층 거동불편자 보행보조기 지원과 희망찾기 가족사랑여행을 추진하였습니다.
적극적인 자활사업 추진으로 생산적 복지 구현으로 자립기반 조성에도 힘써왔습니다.
111쪽입니다. 행복 체감 복지서비스 및 일류자원봉사활동 전개는, 2개 유형 6가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긴급복지 지원사업과 위기가정 사례관리 사업을 위하여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저소득 위기가정에 대한 연중 희망콜 운영, 국번 없이 129번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서비스 제공으로 욕구 해소에도 힘써오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센터 운영 지원과 자원봉사 활성화 추진을 위하여 민간 자원봉사단체의 적극적인 발굴 및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주민지원과 소관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주민지원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사회복지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회복지과장 김대환 사회복지과장 김대환입니다.
사회복지과 소관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15페이지입니다. 먼저, 건강하고 활력 있는 노후생활 영위를 위한 노인일자리 창출입니다.
경로당 일거리 창출사업 55개소, 노인일자리 사업에 19억 4,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다음은 노인 여가시설 확충 및 운영을 위해 경로당 운영비 및 난방비 지원 275개소, 경로당 신축 4개소, 리모델링 2개소, 개보수 및 환경정비 36개소, 건강기구 지원 85개소, 방역소독을 275개소에 실시하였습니다.
다음은 저소득노인 생활 지원을 위해 기초노령연금 지급과 노인 돌봄 서비스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노인복지관 운영에 출연금 7억 7,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116페이지입니다. 노인복지서비스 확대를 위해서는 경로우대 이용업소 지원 60개소, 경로체육대회 지원과 장수축하금을 7명에게 700만 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노인복지시설 지원입니다 노인복지시설 8개소, 재가노인 복지시설 4개소, 저소득 치매노인 주간보호시설 3개소에 운영비를 지원하였습니다.
그리고 노인복지기금 5억 5,300만 원을 재적립하였습니다.
117페이지입니다. 장애인 삶의 질 향상 및 사회통합 지원을 위해 장애인복지시설 및 장애인단체 운영 지원에, 장애인복지관에 13억 2,200만 원, 장애인생활시설 2개소에 14억 5,4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및 복지증진 사업으로 장애인 개인별 각종 수당 지급 1,280명, 장애등급 1급 장애인 활동지원사업 189명, 장애아동 재활치료 부분에는 180명에게 서비스를 지원하였으며, 장애인복지기금 조성액은 5억 6,600만 원입니다.
118페이지입니다. 장애인 일자리사업 추진, 농어촌장애인 주택개조사업, 장애인 보조기구 구입 지원 및 보장구 수리 지원사업, 장애인 편의시설 대상건축물 도면 협의 및 사용승인 점검도 차질 없이 추진하였습니다.
119페이지입니다. 여성능력 제고 및 청소년 건전육성 사업입니다.
여성능력 개발 및 사회활동 확대를 위해 여성지도자 맞춤교육, 여성주간 기념행사, 여성 취업·창업 기능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여성문화복지센터 운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출연금 9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수영장 시설 개선 및 헬스장비를 구입하여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였습니다.
건강가족 지원사업으로는,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과 아이돌보미사업, 건강가정 지원센터를 운영하였습니다.
120페이지입니다.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으로는,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운영과 다문화가족에게 국제운송비를 300세대에 1,5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청소년 건전육성 및 보호를 위해서는 달성군 청소년축제와 모범청소년 해외 테마체험 등을 실시하였으며, 청소년시설에는 청소년센터 출연금 6억 7,000만 원 지원과, 청소년센터 옥상 방수공사를 완료하였습니다.
청소년시설 확충입니다. 가창면 소재 청소년문화의 집 건립은 지난 9월 21일 준공 완료하였으며, 현재 건물내부 인테리어공사 준비 중에 있으며 12월 말경 개관식을 할 예정입니다.
121페이지입니다. 아동·보육의 공공성 강화 및 서비스 제고입니다.
보육료 지원 확대를 위해 영유아 보육료는 6,500명에 198억 3,600만 원 지원과, 어린이집 미이용 아동 양육수당을 600명에게 11억 4,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어린이집 운영비 지원은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원과 교재교구 및 차량운영비를 136개소에 지원을 하였습니다.
국·공립, 법인 어린이집 기능 보강사업으로는 증·개축 1개소, 개·보수 2개소를 지원하여 완료하였습니다.
122페이지입니다. 보육서비스 제고를 위한 군 시책사업입니다. 저소득아동 간식비 지원 1,455명, 방역소독, 보육교직원 한마음대회, 교사 하계연수 교육여비를 지원하였습니다.
취약계층 아동보호 및 지역아동센터 지원입니다. 저소득아동 급식비 지원 1,700명, 지역아동센터 18개소에 운영비를 지원하였습니다.
123페이지입니다. 드림스타트 아동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입니다.
건강검진 112명, 예방접종, 응급처치 교육, 신체발달 관련 부모교육을 연중 실시하였습니다.
124페이지입니다. 보육·교육 분야 프로그램 운영실적입니다. 영유아 가정방문교육 65명, 읽기 쓰기 교실, 독서지도, 학습 멘토링, 교육 분야 후원자 연계사업을 연중 실시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복지 분야 프로그램 운영실적입니다.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70명, 성폭력 예방교육, 소방교육, 문화체험, 부모 취업프로그램을 연중 실시하여 저소득아동과 학부모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사회복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경제지원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지원과장 신기용 경제지원과장 신기용입니다.
경제지원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29쪽, 중소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입니다.
먼저, 중소기업 경영 안정을 위한 자금을 149개 업체에 370여억 원을 지원하고, 중소기업 1사 1담당제 운영과 기업체 대표자 간담회를 개최하여 애로·건의사항을 청취하였습니다.
노사안정을 위하여 모범근로자 해외 산업연수와 노사화합 한마당 잔치, 근로자 체육대회를 개최 지원하여 근로자 사기 진작 및 협력적 노사관계를 확립하였습니다.
130쪽입니다. 물가안정 관리 및 유통질서 확립입니다. 물가안정 관리를 위해 매주 1회 쌀 등 생활필수품목 80개에 대해 소비자 가격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음식점, 이미용업소, 모범음식점 등 305개 업소에 대해 옥외 가격표시판을 제작, 지원하였습니다.
유통질서 확립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불법 공산품 유통 점검·단속을 연 2회 실시하여 위반업소 1개 업소에 대하여 시정명령 조치하였습니다.
지역경제 활성화 제고를 위한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추진으로 화원 전통시장 아케이드를 지난 6월 10일 착공하여 10월 30일 준공하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현풍 주말시장 운영으로 판촉행사 실시, 문화공연 이벤트, 전통시장 장보기 8회를 추진하고, 전통시장 문화관광형 특성화사업 1차년도 사업을 지난 6월 14일부터 추진하여 테마공간, 먹거리 판매대 설치 등 시설공사와 할머니장터, 청년프리마켓 등 휴먼사업, 상인회 육성을 위한 상인 교육과 동아리활동 지원을 하였습니다.
132쪽, 녹색 에너지 공급·안전관리 강화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으로 태양광 발전시설을 단독주택 132가구에 설치 지원하고, 석유제품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석유판매업소 관리·점검을 실시하여 위반업소 3개소에 대하여 고발 및 사업정지 처분을 조치하고, 가짜 석유제품 유통행위 단속을 연 27회 실시하여 위반업소 25개소에 대해 시너, 간이주유기 등을 압수했습니다.
133쪽입니다. 승강기·전기 및 계량기 안전관리입니다. 승강기 안전검사를 실시하여 불합격 4대에 대하여 운행정지 명령을 조치하고 전기설비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부적합 165개소에 대해 시설 개선명령과 자체시정 조치를 하였습니다.
상거래용 계량기 관리 강화를 위한 계량기 정기검사를 실시하여 상거래용 비자동저울 755대에 대해 실시하여 부적합 16대에 수리권고와 자체파기를 조치하였습니다.
134쪽입니다. 산업·연구단지 조성 및 투자 지원입니다.
먼저, 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은 현재 조성공사 공정률 77%로 용지분양은 연구·교육용 48%, 산업용 51%, 주거용 26%로 금년 12월에 기반 조성공사를 완료하여 내년 6월에 사업 준공 예정입니다.
성서 5차 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은 지난 8월 10일 산업단지 준공인가를 득하고 용지분양은 지원시설 100%, 산업용지 84%로 현재 83개 업체가 입주 완료한 상태입니다.
대구국가과학산업단지 조성사업은 지난 2010년 9월에 1단계 1구역 보상 개시를 하여 현재 보상 97%로 올해 8월 20일 2구역 보상협의를 개시하여 현재 보상률은 토지 47%, 지장물 61%, 분묘 40%로 올해 12월 말에 1단계 1·2구역 공사를 착공하고 2단계 구역은 조기개발 될 수 있도록 대구광역시, 지식경제부 등 관련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 지원하겠습니다.
136쪽입니다. 교육·연구시설 건립 지원입니다. DGIST 학사과정 건립사업은 조성공사 공정률 26%로 2014년 3월 학사과정 준공에 이어 개교할 예정이며, ITS기반 지능형자동차 부품시험장 조성사업은 조성공사 공정률 42%로 2014년 10월 준공 및 시험 운영할 예정입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경권 지역본부 건립사업은 현재 건축물 공정률 95%로 올해 12월에 건축공사를 완공하고 12월 말에 입주 예정입니다.
한국기계연구원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건립사업은 현재 건축물 공정률 14%로 내년 8월 준공에 이어 12월에 개원 예정입니다.
138쪽, 국립 대구과학관 건립사업은 지난 10월 9일 공사를 완료하고 11월 현재 운영비 분담 협의 중으로, 연간 78억 ~ 95억 정도로 추정되는 운영비에 대해 대구광역시는 연간 15억 원 정액 또는 10% 분담을 제시하고 기획재정부는 시비 40% 분담을 요구하고 있는 사항으로, 향후계획은 2013년 4월 개관 예정으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별도 법인을 설립 후에 운영할 계획입니다.
다음, 일자리 창출 및 지역공동체 육성입니다.
취약계층 일자리사업으로 공공근로사업을 추진하여 11월 현재 680명을 고용하고 인건비로 15억 원을 지급했으며,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추진으로 76명을 고용하여 인건비로 2억 2,300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자립기반 구축 일자리사업 추진을 위한 마을기업 육성으로 금년에 신규 선정한 4개 마을기업 중 7개 기업에 사업비 3억 1,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140쪽, 사회적기업 육성으로 장애인 재활자립작업장 등 5개의 사회적기업에 대해 사업비 4,000만 원을 지원하여 취약계층 48명에 대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특화사업 등 2개 국비 지원 공모사업을 발굴하여 4,200만 원을 추가 지원되도록 했습니다.
일자리 창출 기반 구축을 위한 ‘달성 일자리센터’ 운영으로 청·장년, 여성, 고령자 등 취업상담으로 어제까지 148명을 취업시켰으며,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추진으로 기업체 구인난 해소 및 고용안정 기반 지원을 위하여, 142쪽입니다. 특성화고교생 만남의 날 등 취업박람회 3회를 개최하여 56명을 취업시키고, 마지막으로 대구테크노폴리스 고용협의체를 3회 운영하여 현대IHL 등 테크노폴리스 내 사업체에 75명을 취업시켰습니다.
이상으로 경제지원과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경제지원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문화체육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체육과장 강성환 문화체육과장 강성환입니다.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문화예술 진흥 및 문화행사 추진입니다.
문화예술 진흥을 위해 달성문화재단 운영비 및 사업비 9억 6,500만 원을 지원하고 달성문화센터 운영 및 사업비 7억 7,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문화예술단체 지원 육성을 위해 달성문화원에 2억 2,700만 원, 민속예술단체에 4,500만 원, 서원 향사를 위해 도동서원 등 8개소에 1,5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146쪽입니다. 군민과 함께하는 문화행사로 신년 해맞이 행사, 정월대보름 달맞이 기원제 및 축하공연, 달성보 일요문화장터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습니다.
147쪽입니다. 전통문화유산 전승 및 지원입니다.
문화재 보존 및 관리에, 문화재 지정으로는 도동서원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2012년 6월부터 등재신청서, 보존관리계획서 등을 작성하여 2013년 12월 완료하여 2014년 1월에 등재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할 계획입니다.
148쪽입니다. 문화재 전승 보존·육성을 위해 무형문화재 전승지원금과 공개행사비로 하향주, 하빈 들소리 육성에 6,1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문화유적의 지속을 위한 보수·정비입니다. 국가지정문화재 5건 9,100만 원, 시지정문화재 3건 2억 400만 원, 향토문화재 4건 3억 5,000만 원, 전통사찰 5건, 6억 4,000만 원을 보수·정비하였습니다.
149쪽입니다.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지 개발입니다.
초곡산성 공원화 사업비 10억으로 2012년 11월 현상변경허가 심의 신청하고 2013년 2월 공사 착공할 예정입니다.
비슬산 둘레길 조성사업은 현풍·유가권 16.3㎞를 10억 예산으로 2012년 10월 실시설계 완료하여 2012년 11월 공사 착공 예정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낙동강 레포츠벨리 조성사업은 2012년 10월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지방환경청에 협의 요청하였으나 결과 부결되어 1만 평방미터 미만으로 축소하여 부산지방국토관리청 하천 점용허가를 득한 후 2014년 2월경에 착공하겠습니다.
다음 150쪽입니다. 다시 찾고 싶은 관광달성 조성입니다.
달성 한일우호관을 2012년 5월 3일 개관하여 예절 및 다도교실을 매주 토요일 및 필요시 수시 실시하여 영상실, 전시실, 한일 양국 민속놀이 체험 등을 운영하였으며, 10월 말까지 1만 4,365명이 방문하였고, 주요 방문인사로는 와카야마시장, 히로시마부시장, 대구시장 등이 방문하였습니다.
앞으로 한일 우호관계 증진이라는 목적을 위해 양국의 문화 체험 및 미술작품 전시 등을 통해 국내 유일의 한일 우호관의 홍보 및 우호관을 거점으로 가창권 관광이 활성화되도록 하겠습니다.
151쪽입니다. 군민의 웰빙문화를 위한 체육진흥 정책입니다.
군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체육대회 개최입니다. 제14회 달성군민체육대회를 10월 9일 군민운동장에서 1만 명 정도 참석하여 개최하였으며, 11월 4일 개최한 낙동강 물레길 전국 마라톤대회는 의원님들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6천여 명이 참석하여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152쪽입니다. 건전한 여가문화를 위한 생활체육 운영입니다. 계층별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추진으로 생활체육지도자사업, 장수체육대학, 소외계층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였습니다.
전문체육인 육성을 위한 생활체육 운영은, 실업정구부는 국제대회 및 전국대회 8개 대회에 참가하여 단체전 전국체전 우승 등 5회 입상하였고, 개인전은 1위 5회, 3위 6회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장애인 휠체어 테니스단 운영은 국제대회 및 전국대회 13개 대회에 참가하여 단체전 전국장애인체전 우승, 개인전 1위 4회, 2위 5회, 3위 5회 하였으며, 런던페럴림픽 국가대표로는 정필교 감독과 오상호 선수가 참가하였습니다.
이상 문화체육과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문화체육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환경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과장 김동섭 환경과장 김동섭입니다.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57페이지입니다. 먼저,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사는 녹색달성 구현입니다.
생태계보전 협력금 반환사업인 현풍면 지리 용흥지 수변구역 내 생태습지 조성사업은 완료를 하였습니다.
녹색도시 달성을 이루기 위한 환경교육은 환경보전 시범학교 운영과 주민 환경교육을 30회에 2,050명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장입니다. 농작물 피해 최소화 및 생태계 개체 유지를 위해 유해야생동물 포획 허가와 농작물 피해 예방용 퇴치기 설치 및 퇴치용품 지원으로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였으며, 환경오염물질 배출원인자 부담금 부과·징수는 환경개선부담금 13억 8,700만 원, 대기 및 수질 배출부과금 4,400만 원을 징수하였습니다.
159페이지입니다. 다음은 건강하고 쾌적한 녹색생활환경 조성입니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추진을 위하여 그린스타트운동 전개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포인트제 가입목표 98.6%인 1만 653세대를 가입시켜 탄소포인트 인센티브로 4,200만 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다음 160페이지입니다. 대기환경오염 관리를 위해 공사장 비산먼지 및 소음 관리와, 민원 발생 사업장 소음·진동 측정 100회, 대기 및 악취 배출업소 지도 점검과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 추진 등 맑은 대기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161페이지입니다.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과 보건관리를 위하여는, 다중이용시설 51개소 실내공기질 관리와, 주택 슬레이트 처리 지원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석면안전관리법」 시행에 따른 보육시설 어린이집 건축물 석면조사를 먼저 하고 있습니다.
다음 장입니다. 주민과 기업이 함께하는 맑고 깨끗한 수질환경 조성입니다.
폐수배출업소 자율관리 역량 강화 및 수질오염원 저감을 위해 폐수배출업소 지도 점검과 배출업소 환경관리인 교육을 통해 기업역량을 강화하였으며, 수질오염 총량관리에 따른 낙동강, 금호강 수질 개선을 위해서도 주요하천 수질검사를 월 1회 실시를 하였습니다.
163페이지입니다. 수질오염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하천 감시활동 및 수질관리를 강화하고, 수질오염사고 대비 환경오염 상황실 운영과, 낙동강 수질오염사고 대비 방제훈련도 실시를 하였습니다.
다음 장입니다. 오수·분뇨의 철저한 관리로 수질오염 예방을 위해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철저한 관리와 가축분뇨 배출 및 처리시설의 체계적인 관리로 수질오염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165페이지입니다. 상수원 확보와 수질보전을 위한 상수원보호구역 관리를 위해 상수원보호구역 관리를 위한 감시활동을 철저히 하고 있으며, 상수원보호구역 주민지원사업 추진도 마무리단계에 있으며 12월 초까지 완료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환경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청소위생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청소위생과장 이정동 청소위생과장 이정동입니다.
2012년도 청소위생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깨끗하고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입니다.
169페이지입니다. 생활쓰레기 적기 수거로 깨끗한 환경 조성을 위해 생활쓰레기 종량제봉투 분리배출 생활화 지속적인 홍보와, 국토대청결운동으로 군과 읍면의 공원, 유원지, 학교 주변, 뒷골목 등에 대한 청결작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청소인력의 효율적 운영 관리를 위해 환경미화원 안전교육과 미화원 복무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습니다.
청소 관련 시책홍보를 위해 재활용품 선별장 체험과 재활용품 분리배출 홍보물 제작, 배부 등 적극적으로 홍보교육을 추진하였습니다.
170쪽입니다. 자원 재활용 활성화로 생활쓰레기 감량을 위해 재활용품 분리수거와 재활용품 선별장을 운영하고,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을 단독주택 마을단위에 보급하였습니다.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및 감량 정착을 위해 공동주택 950세대에 종량제 감량 시범운영을 추진하고, 음식물쓰레기 다량배출사업장 235개소에 대한 지도 점검을 하였습니다.
171쪽입니다. 사업장 폐기물 효율적 관리입니다.
사업장 폐기물 배출업소 및 처리업소 888개소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 위반업소에 대한 행정조치를 하였습니다.
172쪽입니다. 위해식품 사전예방 관리입니다.
식품의 안전한 제조·유통기반 조성을 위해 생산단계의 위해식품 중점 관리와 유통단계의 식품사고 예방 강화, 소비단계의 민간 감시기능을 강화했습니다.
식중독 등 식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집단급식소 등 위생 취약업소 집중관리와, 노로바이러스, 신종인플루엔자 등 예방을 위한 홍보를 실시하였습니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성 향상을 위해 어린이식품안전 보호구역 47개 학교를 지정 관리하고,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 영양 표시사항 등을 점검하였습니다.
위생 취약업소 안전관리를 위해 상습 고의적 위반업소 특별관리와, 무신고 식품접객업소 단속을 실시하였습니다.
174쪽입니다. ‘참맛 달성’ 지역 음식산업 육성사업입니다.
고품격 명품 음식점 육성을 위한 ‘친절·청결한 참맛 집’ 만들기 사업을 위하여 친절·청결한 참맛 집 14개소 경영자 자율회를 운영하고, 외식업계 전문가를 초청, 경영컨설팅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94개소 모범음식점을 대상으로 현장방문 맞춤식 친절·청결교육을 추진하였으며, 대구 음식관광박람회 친절 시연대회에 ‘정강희 두부마을’ 식당에서 금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달성만의 차별화를 위한 사찰음식 집중 육성을 위해 지난 8월 30일 사찰음식 육성위원회를 통하여 사찰음식 전문점 2개소, 가창 ‘큰나무집 밥’, 다사 ‘정강희 두부마을’을 지정, 운영 중에 있습니다.
자연의 맛 웰빙 사찰음식 30선을 주식회사 ‘북21’과 전자출판물 계약을 체결하고, 스마트폰을 통한 달성의 사찰음식 우수성을 전국에 홍보하고 있습니다.
175쪽입니다. 지역 외식업계 종사자 요리수준 향상 및 음식점 고급화를 위하여 지난 9월부터 지역 외식업계 종사자 96명을 달성문화센터에서 요리강습을 하였으며, 1업소 1특화음식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달성음식 전국 홍보 마케팅 사업으로 지난 10월에 비슬산 음식문화거리를 ‘비슬산 참맛길’ 브랜드로 특허청 출원공고 결정과, 비슬산 일원 24개소 음식점을 대상으로 간판 정비사업을 추진하여 고품격 명품 음식문화거리로 조성하고 있습니다.
‘참맛 달성’ 음식 홈페이지에 사찰음식, 달성 참맛집 등 주제별로 관내 맛집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하여 지역 음식이미지 제고와 외식업계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건전한 여가문화 정착을 위해 불법 영업행위 업소에 대한 집중단속 실시와, 게임제공업소의 건전한 영업분위기 조성, 노래연습장 등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 공중위생업소 서비스 등급평가에 대한 철저를 기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청소위생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설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설과장 이동호 건설과장 이동호입니다.
2012년도 건설과의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81쪽입니다. 체계적인 건설행정 관리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금년도 14개 업체에 대해서 신규등록을 받아 현재 전문건설업은 우리 관내에 269개 업체에 414업종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자금이 부족하거나 기술자가 부족한... 관련법을 위반한 업체 8개 업체에 대해서는 영업정지를 하였고 5개 업체는 등록말소를 하였습니다.
국·공유지를 무단 점유한 자에 대해서 행정처분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국유 행정재산 중 사실상 실태조사를 통해 도로기능을 상실하고 장래 도로계획이 없는 재산 20필지 3,181㎡는 용도폐지를 하여 재산관리청인 자산관리공사에 인계를 하였습니다.
182쪽입니다. 2012년도 건설사업 총괄 현황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총사업은 252건에 849억 1,900만 원입니다. 이 중에서 교통소통 대책을 위한 도로망 확충은 180건에 705억 7,500만 원이고 이 중 군도 및 도시계획도로는 129건에 551억 2,700만 원, 농어촌 및 기타도로 개설은 51건에 154억 4,800만 원입니다.
183쪽입니다. 농로 및 용·배수로 정비 등 농업생산기반시설 구축에는 72건 143억 4,400만 원을 투자하여 사업 진행 중에 있습니다.
4대강 자전거도로에 있어서 관내 총 연장은 64㎞인데 이 중 낙동강변은 36㎞, 단절구간은 28㎞입니다. 낙동강변 구간은 국토부와 수자원공사에서 시행을 하였고 단절구간 28㎞는 국비 70%, 군비 30%로 우리 군에서 건설하였습니다.
184쪽입니다. 도로시설물 유지 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도로포장 보수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예산 3억을 들여서 연간 단가 계약업체를 선정하여 수시로 보수하고 있으며, 도로시설물의 효율적인 정비 추진을 위하여 소규모 인도 파손 및 경미한 사항은 자체 장비를 정비하고, 예산이 수반되는 사업은 전문 건설업체를 선정하여 보수하고 있습니다.
교량 유지관리에 있어서 2년에 한 번씩 시행하는 정밀 안전점검 결과 해량교가 유지 보수가 필요한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B등급으로 판정이 되어 내년에 예산을 확보하여 보수하도록 하겠습니다.
185쪽입니다. 관내 우리 군에서 관리하는 20m 미만의 도로에 있어서 영조물 배상공제보험에 가입하였습니다. 도로시설물로 인하여 일어나는 각종 교통사고나 사고에 대해서 우리 군 예산에 있는 보험으로 처리하기 위해서입니다.
186쪽입니다. 우리 관내에 저수지 배수장, 양수장, 관정 등 266개의 수리시설물이 있습니다. 상반기에 2회 점검을 하였고 하반기 2회 점검한 결과 양수장 및 관정에 대해서 보수가 필요하여 8개소 4,650만 원을 투자하여 정비를 완료하였습니다.
187쪽입니다. 구체적인 도로시설물 사업추진 현황은 서면으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건설과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건설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시시설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시설과장 이덕수 도시시설과장 이덕수입니다.
도시시설과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13페이지입니다. 도시계획 관리입니다.
군 도시계획위원회는 분과위원회 8회 개최해서 33건을 처리하였고, 본 도시계획위원회는 3회 개최해서 6건을 심의처리 완료하였습니다.
214쪽입니다. 불법 개발행위 단속 지도는 적발 5건 해서 원상복구는 3건 완료했고 추진 중이 2건이 있습니다.
상·하리 지구단위계획 용역은 지금 현재 34%로 추진을 하고 있습니다. 내년 4월에 도시관리계획안을 열람 공고하고 5월 달에 군 도시계획위원회 자문을 거쳐서 6월 달쯤에는 대구시 도시관리계획위원회에 결정 신청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개발제한구역 해제 변경결정입니다. 개발제한구역 즉, 경계선 관통대지 해제 용역이 되겠습니다. 742필지에 13만 8,000㎡입니다. 해제대상 토지에 대해서는 지난 10월 26일 날 도시관리계획안을 열람 공고 완료하였으며, 이번 정례회 중에 군의회 의견청취를 득한 후에 군 도시계획 자문을 받아서 시 도시관리계획 결정 신청하도록 하겠습니다.
216페이지입니다. 가창 동부순환도로 확·포장 공사는 현재 12%로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 8월에 준공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다음, 논공 금포 구획정리사업입니다. 현재 93%로 추진하고 있고 내년 12월에 준공되도록 추진하고 있습니다.
218페이지입니다. 다사 서재 구역정리사업입니다. 공사는 6월에 100% 준공을 했습니다. 현재는 환지 청산 중에 있습니다. 환지 청산금이 최대 400만 원이고 최소 170만 원으로 청산하고 있습니다.
옥포 보금자리 주택사업 조성은 현재 43%로 추진하고 있고 내년 2월에 기반시설사업은 공사를 완료하게 되고 아파트사업은 별도로 추진하게 되겠습니다.
220페이지, 옥포 본리 구획정리사업입니다. 옥포 본리도 공사는 100% 준공이 됐습니다. 그러나 최종 준공하는 데는 문제점이 좀 있습니다. 체비지 권리관계로 법원 소송 계류 중인 사건이 있어서 최종 환지처분이 불가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환지 소송결과에 따라서 최종 환지처분이 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그리고 미착공 토지구획정리사업입니다. 논공 남리 구획정리사업은 소유자 대비 동의율이 63.5%로 충족됐습니다만, 면적 대비해서는 62.9%로 지금 부족한 실정입니다. 조합 설립인가요건 충족을 위한 동의서를 계속 징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현풍 부리 구획정리사업은 동의율이 소유자와 면적 대비해서 아주 저조한 실정입니다. 그러면서도 동의했던 토지소유자가 동의를 철회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소유자 의견에 따라 대구시 도시과와 협의해서 구획정리사업지구를 해제하는 걸로 검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22페이지입니다. 도시미관 조성사업입니다. 현수막 게시대 설치, 보수, 그리고 불법광고물 수거보상제를 실시해서 도시미관을 조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비슬산 음식문화거리 광고물 정비는 5.6㎞에 대해서 정비 완료하였습니다.
223쪽입니다. 가로등 및 보안등 설치·보수공사는 14건 발주해서 완공 10건 하고 추진 중이 4건 있습니다. 연말 중으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224페이지입니다. 달성스포츠파크 조성사업은 현재 38%로 원활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내년 12월에 공사 준공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현풍 전천후 게이트볼장 조성사업은 준공 완료하였습니다.
226페이지입니다. 하수도 관리입니다.
가창 삼산리 하수도시설은 1일 처리용량 470톤인데 현재 430톤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11월에 준공 완료됐습니다.
가창 냉천리 하수관거 공사는 금년 12월에 준공되도록 하겠습니다.
228페이지입니다. 마지막으로 소규모 하수도 공사는 18건 발주해서 완공이 16건 처리하고 현재 2건에 대해서 추진 중에 있습니다. 연말까지 완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도시시설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치수방재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난관리담당 김재규 치수방재과 재난관리담당 김재규입니다.
치수방재과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재난 대비 사전 예방활동 강화입니다.
재난 발생 시 체계적이고 신속한 재난상황 관리를 위하여 24시간 상시 근무체제를 확립하여 기상특보 발효 시 단계별 근무요령에 따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제 재난대응능력 배양을 위하여 2012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실시하였으며, 배수펌프장 실제 가동훈련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자연재해 예방활동으로 각종 자연재해 발생 시 기상특보에 따른 자동음성통보시스템, 재해문자전광판 등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2012년 자연재난 표준행동메뉴얼을 제작, 배부하였으며, 자동음성시스템 유지보수 용역 시행으로 재해예방 예·경보시스템 활용도를 높이고, 풍수해보험 가입 홍보 실시 및 각종 수방자재를 확보하여 읍면별로 보관토록 하였습니다.
또한 사전재해영향성 검토위원회를 구성 운영하여 도시관리계획 결정, 도시계획시설사업 낙동강 대구학생수련시설 신축공사에 대하여 검토 협의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안전사고 예방으로 안전도시 구현입니다.
재난예방 시설물 안전관리 강화를 위하여 특정관리대상 시설물 331개소,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상 시설물 325개소를 지정, 관리하고 계절별 재난취약시설 77개소에 대하여 안전점검을 실시하였으며, 국가하천 2개소, 지방하천 11개소, 수문 90개소 등 하천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 정비하고, 화원 천내천 등 24개소에 대하여 하상정비, 기성제 정비 실시 등 하천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인적 재난사고 예방활동 강화를 위하여 매월 안전점검의 날 행사 추진을 통하여 안전사고 예방 홍보 및 시설물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기초생활수급자 가구 등 재난 취약계층 272가구에 대하여 전기설비 안전진단 및 시설 정비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지역축제, 공연, 행사장 안전관리를 위해 안전관리 실무위원회 회의 및 행사장 사전 합동안전점검을 8회 실시하였습니다.
239페이지입니다. 하천사업 및 재해예방사업의 추진입니다.
수해 방지를 위한 하천사업 추진으로 총 사업건수는 18건이며 총 사업비는 172억 5,400만 원입니다. 10월 말 현재 12건은 완공하고 6건은 순조롭게 공사 중에 있습니다. 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241페이지입니다. 소하천 정비 종합계획을 수립, 추진하여 6개 읍면에 대하여 수립 완료하고 3개 읍면은 대구시 승인신청 중입니다.
하천 편입토지 보상은 보상금 결정 대상 74필지 중 62필지 7억 5,400만 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자연재해 위험지구 정비사업으로 추진 중인 다사 서재 재해위험지구는 소방방재청 실시설계 사전검토 보완 및 고지배수로구간 보상협의와 일상감사 계약심사 중에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경영수익사업 및 기금의 효율적 운영입니다.
하산지구 준설토 매각은 총 적치량 73만㎥ 중에 20만 1,086㎥를 판매하였으며 판매금액은 20억 1,000만 원입니다.
또한 재난복구 및 예방사업에 재난관리기금을 적극 활용하여 기금총액 44억 6,100만 원 중 5억 원을 집행하였으며 잔액은 39억 6,100만 원입니다.
243페이지,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입니다.
낙동강 살리기 사업은 구지면 대암리에서 하빈면 하산리 간 6개 지구에 대하여 22공구는 2012년 9월 29일 사업 준공되었으며, 23공구 구간은 문화관 등 사업 추가 관계로 2012년 11월 30일 준공 예정이나 올 12월까지 사업 추진 중에 있습니다.
금호강 살리기 사업은 다사 죽곡리에서 방천리 구간까지 하상 준설, 가동보 설치, 산책로 및 친수공간 등을 조성토록 하여 사업 완료시점에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4대강 사업 준공 이후 국가하천 유지 관리는 낙동강 고수부지 시설과 금호강 하천시설 전체에 대하여 대구시에서 관리하고 그 외 재해 즉각 대응시설, 기존 점용관련 시설은 우리 군에서 관리하도록 되었습니다.
이상으로 재해 사전예방 및 깨끗하고 쾌적한 하천환경 보호를 위한 치수방재과 2012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재난관리담당,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축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축과장 강대학 건축과장 강대학입니다.
2012년도 건축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47쪽,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지원사업 추진입니다.
먼저 생활편익사업으로 가창 내상원 진입로 포장공사를 완공하였습니다. 소득증대사업으로는 단산리 마을공동작업장을 완공하였고, 마비정 농촌 체험마을 건립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국토해양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누리길 조성사업은 마비정 누리길 등 6개 구간을 조성,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복지증진사업으로는 마시동 마을 등 5개 마을에 체력단련시설 및 마을 공동주차장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48쪽입니다. 개발제한구역 관리입니다.
관내 개발제한구역 전 지역에 대하여 일일 순찰을 확행해서 위법행위 사전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249쪽입니다. 건전한 건축행정 정착을 위하여 항공촬영 무허가건축물 단속을 연중 실시하고, 건축사 대행업무 건축물 점검 및 건축물 부설주차장 관리상태를 매분기 1회 이상 실시하는 등 건축행정 업무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250쪽입니다. 건축행정 질서 확립을 위한 건축행정 건실화 대책은, 내실 있는 자체계획을 수립해서 건축행정 선진화를 통한 주민 편익증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다음 251쪽, 건축아카이브 구축사업입니다. 우리 지역에 산재한 보존가치가 있는 건축물을 분류, 발굴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해서 정보화해서 자원화할 건축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용역이 진행 중이며, 용역결과를 참고해서 내년도 DB 구축할 계획입니다.
252쪽입니다. 쾌적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하여 공동주택 관리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금년에도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기준에 따라서 13개 단지에 6억 4,000만 원의 관리비용을 지원하였습니다.
농촌주택 개량사업 및 빈집 정비사업은 금년도 계획물량에 대해서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습니다.
253쪽에서 255쪽까지 공공건축물 시공 분야입니다.
달성국민체육센터가 완공을 앞두고 있고 화원전통시장 등 7개 공공건축물을 완공하였으며, 군립도서관 등 3개의 건축물에 대하여 설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간 내 완공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건축과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건축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교통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통과장 곽국일 교통과장 곽국일입니다.
교통과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사람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확립으로, 교통불편 민원 발생 시 신속조치 및 위법운행 지도·단속 강화로 248건에 대하여 과태료 및 시정·경고 조치를 하고, 대중교통시설물인 시내버스 승강장 및 의자를 3,700만 원 예산으로 설치 정비하였습니다.
또한 전세버스 운송사업체 불법운행 지도에 있어 4개 업체를 대상으로 11건을 지도 단속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원활한 교통체계망 및 교통안전 구현을 위하여 교통안전시설물인 신호등, 경보등, 과속방지턱 등 431개소에 대하여 4억 6,500만 원으로 설치 및 정비를 하였으며, 교통안전 개선사업으로 교통사고 잦은 곳과 어린이보호구역 4개소에 대하여 1억 2,000만 원 사업비로 추진 완료하였으며, 그리고 주민불편 교통시설물에 대한 교통안전시설심의회에 24건 안건 상정 처리하였습니다.
교통안전 확립 및 주차환경 개선사업에 있어 공영주차장 조성사업으로 5,000만 원 사업비로 하빈·구지면에 마을단위 주차장을 설치 완료하였습니다.
불법주차 단속에 있어 주민 계도와 아울러 교통 혼잡지역, 절대주차금지지역에 대해서 7,210건에 2억 7,200만 원 과태료를 부과했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무단방치차량에 대해서는 293건을 신속 처리하였으며, 참꽃문화제 등 각종 행사에도 교통편의를 제공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효율적인 자동차 관리로 사업용 화물자동차 유류보조금으로 2,198대에 대하여 10회에 걸쳐 85억 7,400만 원을 지급하였으며,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위반자에 대하여 과태료 4,797건 4억 400만 원을 부과하고, 채권 확보를 위하여 2,308건 3억 2,900만 원을 압류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무보험 운행차량 특사경 업무 수행으로 대상자동차 902대 중 432대를 처리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장입니다. 화물자동차 운송사업 허가 및 관리로 신규 및 양도·양수, 차고지증명 등 380건을 처리하고, 화물자동차 운수업체에 대하여 과징금 부과 등 402건을 지도 단속하였습니다.
아울러 자동차 불법 구조변경 58건 지도 단속과, 자동차관리사업체 등록관리 및 지도 단속에도 철저를 기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신속한 민원행정 추진입니다.
차량등록 및 제증명 업무 추진으로 15만 건 처리하고, 참고로 관내 차량은 7만 9,000대로 월 300대 정도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자동차 검사 및 점검에 있어 사전 안내서비스를 실시하고 검사 지연 및 미필자에 대하여 과태료 1,819건에 2억 700만 원 부과와 검사 미이행자들은 11명에 대해서 고발 조치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교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공원녹지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원녹지과장 권세원 공원녹지과장 권세원입니다.
공원녹지과 2012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드리겠습니다.
269쪽입니다. 아름다운 녹지 조성입니다.
사업 추진으로는 10건입니다. 아름다운 달성만들기, 가로수 사후관리, 녹색복지숲 조성, 지장수목 이식, 가로변 꽃 조성은 지금 추진 중에 있고 곧 마무리되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가로숲 조성과 학교숲 조성, 도시숲 조성, 시설녹지 및 조경지 유지관리, 가로수 보식은 완료된 상태입니다.
270쪽입니다. 산림자원화 기반 구축입니다.
사업 추진으로는 임도사업, 그다음에 숲길 정비공사, 참꽃군락지 내 편의시설물 설치공사는 사업 추진 중에 있고, 조림사업, 숲가꾸기 사업, 조림지 숲가꾸기 사업, 참꽃군락지 생육환경 개선, 사방공사, 생활권 등산로 정비공사는 완료했습니다.
271쪽입니다. 산림보호 대책입니다.
산불방지대책으로는 2012년 1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산불방지 종합대책본부를 공원녹지과와 읍면에 설치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입산통제 및 등산로 조정을 위해서 5개 읍면 8,580㏊에 대해서 조정 고시 및 공고를 하였습니다.
산불진화용 헬기 1대를 임차하여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운영토록 하겠습니다.
산불예방 인력 및 진화장비 확보를 위해 산불진화대 10명과 산불진화장비를 구입하여 읍면에 배부한 상태입니다. 특히 홍보를 위하여 산불예방 현수막을 설치하였고 소식지 및 차량 가두방송, 마을 앰프방송을 활용하였습니다.
272쪽입니다.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입니다. 소나무 재선충병 완전방제사업 시행은 화원 구라리, 유가면 한정리 일원에 완전방제를 위하여 117㏊를 하였고, 예방나무주사는 35.57㏊에 대하여 임업적 방제와 피해목 제거, 예방나무주사를 완료하였습니다.
예찰방제단 운영은 8명으로 산림병해충 예찰활동, 고사목 및 피해목 제거작업, 감염 우려목 시료 채취를 완료하였습니다.
보호수 유지 관리를 위하여 보호수 10개소에 대해서 보호수 생육환경 개선과 보호수 외과수술 및 수형조절을 완료하였습니다.
273쪽입니다. 쾌적한 공원·유원지 조성 관리입니다.
명곡체육공원 다목적운동장 조성과 공원·유원지 유지 및 관리는 지금 추진 중에 있습니다. 특히 천내근린공원 어린이놀이터 재정비와 공원·유원지 시설물 긴급보수를 하였고 공원등도 정비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이상으로 공원녹지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공원녹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보건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과장 정기수 보건과장 정기수입니다.
보건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77페이지, 보건의료 서비스 강화입니다.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으로 무등보건진료소는 2013년 2월에 준공 예정이며, 고봉보건진료소는 금년 6월에 준공 완료하였습니다.
달성주민건강지원센터는 건축설계를 공모하여 현재 업체가 선정되었으며, 2014년 4월경에 준공 예정입니다.
구강보건사업으로 저소득층 아동과 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구강관련 예방사업을 실시하였으며, 어린이집 등을 대상으로 구강 양치교실을 운영하고 초등학교 3개교에 학교 구강보건실을 운영하였습니다.
278페이지입니다. 국가 암관리 사업으로 암 조기발견에 의하여 8,736명에게 암검진을 실시하였으며, 암환자 206명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였습니다.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으로 만성신부전증 등 134개 질환자 156명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였습니다.
279페이지, 맞춤형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입니다.
영유아 건강증진을 위하여 선천성대사이상검사와 미숙아 의료비 지원, 국가필수예방접종 2만 5,190건을 실시하였으며, 모성건강 증진을 위하여 모유수유 및 임산부 요가 등 출산준비교실과 한방육아 및 영유아 건강교실을 운영하였습니다.
출산장려정책으로 난임부부 지원, 산모·신생아 도우미 지원, 출산축하금을 1,359명에게 지급하였습니다.
280페이지입니다. 영양플러스 사업으로 임산부와 영유아 262명에게 보충식품을 지원하였습니다.
보건소 건강생활실천 통합서비스 사업으로 건강증진실 운영과, 영유아에서 노인에게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보건소 금연클리닉 사업으로 흡연자에 대한 금연클리닉 등록 관리와 청소년, 직장인을 대상으로 순회 금연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81페이지입니다. 한방 건강증진 허브보건소 사업으로 기공체조교실과 중풍예방교실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방 가정방문 진료도 함께 실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찾아가는 고객 감동 보건·의료 서비스입니다.
방문건강관리사업으로 방문 전담간호사 9명이 지역별 취약계층 3,972가구를 대상으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재가 중증장애인과 만성질환자 48명에게 방문 물리치료를 실시하였습니다.
282페이지입니다. 심뇌혈관질환 예방사업으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환자를 등록하여 만성병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노인 운동교실은 41개 경로당 어르신 800여 명을 대상으로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운영하였습니다.
정신보건사업은 정신보건센터 위탁운영,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운영 지원, 정신의료기관과의 연계관리와 지도 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치매 관리사업으로 치매 간이선별검사를 1,780명에게 실시하여 404명을 등록 관리하고 있으며, 치매환자 327명에게 약제비를 지원하였습니다.
284페이지, 마지막으로 감염병 예방 및 의·약업소 관리입니다.
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하여 질병정보 모니터를 지정 운영하고 있으며, 용호천 등 취약지 20개소에 유충 구제방역을 실시하였습니다.
결핵환자 관리를 위하여 객담검사 등 검진을 4,194건을 실시하였고, 병·의원의 결핵환자도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병·의원과 약국 150개소를 지도 점검하여 건전의료행위 정착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건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보건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업정책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정책과장 곽병록 농업정책과장 곽병록입니다.
농업정책과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87쪽입니다. 농업인 복지증진 및 농가소득 보전을 위한 사업입니다. 농어촌 보육교사 특별근무수당 지원으로 어린이집, 유치원 등 보육시설 교사 수당으로 8억 2,800만 원을, 농업인자녀 고교 학자금 지원사업비로 4억 9,8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농업인 안전공제료 지원사업은 총 1억 7,600만 원으로 지역 농협을 통하여 12월 중으로 지원 정산 마무리하겠으며, 농촌 일손돕기 인력 지원사업은 관내 일손부족 농가에 마늘, 양파 수확 등 연인원 3,000명이 작업면적 13.75㏊에 대해서 지원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농가소득 보전 지원사업인 쌀소득등 보전직접지불사업으로 고정직불금은 12월에 변동직불금은 내년 1월에 각각 지원하며,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사업 및 벼 재배농가 소득보전금 지원사업은 헥타당 20만 원을 12월 중에 지원 완료하겠습니다.
288쪽입니다. 공공비축 포대벼 출하농가 PP포대 지원사업비로 포대당 500원을, 공공비축 및 산물벼 출하농가에 건조수수료 지원비로 포대당 1,300원을 벼 출하농가에 12월 중으로 지원하며, 생산비 절감용 농기계 공급사업비로 2억 6,200만 원을 지원하고, 농업인 건강 보호를 위한 농약안전장비 공급사업은 지원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쌀 경쟁력 제고사업입니다. 벼 재배 장려금 지원비로 일반 계약 재배농가는 포대당 2,000원, 친환경 인증 재배농가는 5,000원을 12월에 지원하게 되겠습니다.
벼 병충해 방제사업비는 항공방제 2,100㏊, 공동방제 650㏊에 대하여 방제 완료하였으며, 289쪽입니다. 친환경 방제사업은 친환경농약 자바라를 1봉당 1만 8,000원을 정액으로 지역 농협을 통하여 공급 완료하였으며, 벼 공동육묘장 설치 지원사업으로 논공읍 및 옥포면 2개소에 1억 6,000만 원을 지원, 육묘장을 설치 완료하였습니다.
290쪽입니다. 원예작물 소득 증대사업입니다. 양파 육묘용 톱밥 지원사업은 완료하였으며, 시설원예 에너지이용 효율화사업, 비닐하우스 노후 철제파이프 교체 지원사업은 벼 수확 관계로 12월 중으로 완료하게 되겠습니다.
꽃매미 방제 지원사업은 과수재배 전 농가를 대상으로 사업 완료하였으며, 마늘작목반 건조기 지원사업, 291쪽입니다. 마늘쪽 분리 및 선별겸용기 지원사업, 양송이작목반 공용퇴비제조기 지원사업은 모두 사업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농산물 유통 활성화 지원사업입니다. 주요작목 포장재 제작 지원 협력사업은 지역 단위농협 9개 및 품목별농협, 달성축협을 통하여 지원 완료하였으며, 참달성 농·특산물 쇼핑 및 택배비 지원사업 1억 5,000만 원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참달성 농·특산물 홍보 및 판촉행사, 우수 농·특산물 택배용 박스 개발 및 제작 지원사업, 우수명품 농축산물 육성 지원사업은 완료하였습니다.
292쪽입니다. 한우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축분처리용 왕겨 지원사업으로 1억 4,000만 원을 한우 10두 이상 전업규모 축산농가에 지원하며, 한우 10두 미만농가 축분처리용 톱밥 지원사업은 사업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FTA 대비 경쟁력 제고사업으로 착유시설 개선사업, 젖소능력 개량사업, 벌꿀의 품질 균일화를 위한 꿀벌농축기 지원사업 등은 완료하였으며, 축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사료 생산장비 지원사업, 달성 섬유질배합사료공장 포장재 지원사업, 청보리 곤포사일리지 생산 지원사업도 완료하였습니다.
293쪽입니다. 가축방역 및 기자재 지원사업으로, 가축전염병 예방접종으로 소 탄저기종저병 외 8종에 대하여 춘계 1회, 추계 2회 등 접종약품을 지원 완료하였으며, 돼지 써코바이러스 백신 지원사업, 악취제거제 지원사업 및 연막소독용 약품 지원사업도 완료하였습니다.
끝으로 294쪽입니다. 친환경 농업 육성을 위한 친환경 농업 직접지불사업과 친환경 직불제사업 농가장려금 지원사업, 친환경농산물 인증수수료 지원사업은 12월 중에 지급하며, 토양개량제 지원사업인 규산, 석회질 공급사업은 총 사업비 2억 300만 원으로 12월 중으로 지원 완료하겠습니다.
295쪽입니다. 유기질비료 지원사업, 친환경 고품질쌀 생산단지 육성사업도 11월 중으로 마무리하고 과채류단지 수정벌 투입 지원사업은 완료하였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농업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촌지도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도기획담당 배상일 농촌지도과 지도기획담당 배상일입니다.
농촌지도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99쪽입니다. 먼저, 식량작물 생산입니다.
식량작물 생산기반 조성을 위해 벼 육묘용 상토 지원 2,740㏊, 군정홍보용 유색벼 재배, 찹쌀 재배단지 채종포 운영, 벼품종 비교전시포 운영, 정부 보급종 벼 56톤을 비롯해 총 128톤을 공급하였으며, 종합검정실 및 농기계 임대사업 운영은, 토양검정 1,007점 검정하였으며, 농기계 임대사업 운영은 지금까지 3개소 1,730회 지원하였습니다.
300쪽입니다. 원예작물 생산입니다.
에너지 절감기술 지원을 위해 작목반별 문제점 해결을 위한 현장 컨설팅 순회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친환경 원예작물 생산 확대를 위해 친환경 농산물 품질인증 회원 250명에 대해 인증단계별 차별화된 지도와, 친환경 천적 활용 방제프로그램 운영, 친환경 액비 및 토양소독제 지원, 하우스 동 간 피복재 보급을 368호에 대해 지원하였습니다.
301쪽입니다. 과수·특용작물·축산물 생산 경쟁력 강화입니다.
고품질 과일 안정생산을 위해 우산식 지주 보급 18개소, 석회황합제 지원 268호, 우량묘목 보급, 문자사과 생산기술을 보급하였으며, 특용작물 안정생산을 위해 버섯재배사 자동환경 관리시스템 보급 11개소를 추진하였습니다.
친환경 축산물 안전생산을 위해 미생물 배양실 운영으로 연간 2,700ℓ를 생산 공급하였습니다.
302쪽입니다. 강소농 역량 강화 및 농업인 전문능력 배양입니다.
농업인 전문 기술교육 향상을 위해 새해농업인 실용교육, 강소농 역량 강화 교육, 농업현장 순회교육, 영농 시기별 품목별 전문교육 등 총 46회 3,710명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농업경쟁력 향상을 위해 농업현장 경영 컨설팅 지원 및 경영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303쪽입니다. 도시농업 활성화 및 농촌자원 발굴입니다.
도시농업 활성화 추진을 위해 체험 및 학습원 조성 3개소, 텃밭농원 및 홈 텃밭 조성 210개소, 도시농업 아카데미 및 농심 체험교육 61회 1,927명을 실시하였습니다.
도농교류 및 농촌환경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해 농촌 건강 장수마을 육성 1개소, 벽화마을 주말체험농장 조성 1개소, 도시농부학교 1개소를 조성 운영하고 있습니다.
304쪽입니다. 농업인조직체 육성입니다.
농촌지도자회원 대상으로 조직 활성화와 과제교육 선진지 견학을 실시하였으며, 농업경영인 527명을 대상으로 유형별 정착 지원 확대와, 농업전문 CEO 위탁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생활개선회원 730명을 대상으로 생활개선회원 리더십 배양교육을 비롯해서 31회에 2,085명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305쪽입니다. 영농 및 학교 4-H회원을 대상으로 6회에 걸쳐 야영교육 등 과제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농업인 해외연수는 3기로 추진, 69명을 대상으로 중국의 농업기술과 정보 수집으로 농업경쟁력 강화, 지역 농업인의 자긍심을 고취시켰습니다.
끝으로 제17회 농업인의 날 기념행사는 11월 6일 실시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농촌지도과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지도기획담당, 수고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설관리사업소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박영기 시설관리사업소장 박영기입니다.
시설관리사업소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09쪽입니다. 첫째, 체육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 관리입니다.
안전한 체육시설물 이용을 위하여 특정관리대상 시설의 안전점검과 소방종합정밀점검을 실시하였으며, 하절기 및 추석맞이에 대비하여 체육시설물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지적사항 6개소에 대하여서는 조치 완료하였습니다.
310쪽입니다. 또한 공공체육시설물을 체계적으로 운영 관리하여 연간 4만 3,000명이 이용하였으며, 수입금으로는 군민체육관에서 840만 원, 다사체육공원에서 9,800만 원, 가창체육공원에서 7,800만 원, 합계 1억 8,440만 원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311쪽입니다. 둘째, 체육시설의 효율적 유지 관리입니다.
주민편의를 위한 동네체육시설을 구지면 예현리 등 13개소에 1,600만 원을 들여 신규 설치하였습니다. 또한 동네체육시설물 보수를 위하여는 2,000만 원을 들여서 17개소에 실시하였습니다.
312쪽입니다. 공공체육시설물 정비를 위하여는, 공공체육시설 가로등 15개소 설치에 5,200만 원, 군민체육관 외벽 도색공사 1,500만 원, 다사체육공원 선수대기석 설치공사 1,500만 원, 군민운동장 내 체력단련시설물 교체공사 3,200만 원, 군민운동장 CCTV 설치공사에 2,100만 원을 들여 정비를 완료하였습니다.
이밖에도 군민운동장 녹지대 정비 외 19개소 공사에 7,520만 원을 들여서 정비를 완료하였습니다.
316쪽입니다. 셋째, 아름다운 자연휴양림 유지 관리입니다.
자연휴양림 숙박시설에 연간 48만 8,000명이 이용하여 비슬산휴양림에 2억 8,400만 원, 화원휴양림에 2억 3,900만 원, 합계 5억 2,300만 원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쾌적한 숙박시설을 유지하기 위하여 방부도색공사 등 4개 사업에 3,500만 원으로 보수공사를 완료하였습니다.
휴양림을 찾는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반 및 편의시설 조성을 위하여 비슬산휴양림 운동장 정비공사 2,000만 원, 비슬산휴양림 암괴류 관찰데크 정비공사 2,000만 원, 비슬산휴양림 수위지시계 설치공사 2,000만 원, 화원휴양림 CCTV 설치공사 2,800만 원, 화원휴양림 경사지 보안등 보수공사 3,400만 원, 기타 6개 공사에 4,330만 원을 들여서 공사를 완료하였습니다.
319쪽입니다. 넷째, 사랑받는 자연휴양림 조성입니다.
비슬산휴양림에 얼음동산을 조성하여 13만 명의 방문객이 찾았으며, KBS, MBC, TBC에서 취재하는 등 이제는 비슬산휴양림이 전국의 명소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휴양림을 찾는 이용객들에게 볼거리, 추억거리, 즐길거리를 위하여 인도변에 참꽃을 식재하고 야생초 화단을 조성하였으며, 또한 반딧불이 1,000마리 날려보내기 행사 및 숲속의 음악회 등 이색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100년 달성을 기념하는 장승을 소재교 전면에 2기 설치하는 등 다른 휴양림과 차별화된 휴양림 조성을 위하여 노력해 왔습니다.
이상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시설관리사업소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이틀간에 걸쳐 2012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모두 보고받았습니다. 보고하신 실·단·과·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11시27분)
○의장 배사돌 다음은 휴회결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 활동을 위하여 11월 28일부터 12월 6일까지 9일간 본회의를 휴회하고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있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이것으로 오늘 회의는 모두 마치겠으며, 12월 7일 오전 10시 소회의실에서 제3차 본회의를 열어 2013년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보고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1시27분 산회)
○출석의원(8인) |
배사돌김기석하용하정수헌 |
채명지김길수송성열김옥순 |
○출석공무원 | |
군수 | 김문오 |
부군수 | 최삼룡 |
행정지원국장 | 서정길 |
주민지원국장 | 김재환 |
건설도시국장 | 김현호 |
보건소장 | 박미영 |
농업기술센터소장 | 구본은 |
기획감사실장 | 황영근 |
정책사업단장 | 장윤석 |
행정지원과장 | 신성진 |
세무과장 | 이영환 |
회계과장 | 백진흠 |
종합민원과장 | 석동용 |
토지정보과장 | 신후남 |
정보통신과장 | 허남철 |
주민지원과장 | 추교훈 |
사회복지과장 | 김대환 |
경제지원과장 | 신기용 |
문화체육과장 | 강성환 |
환경과장 | 김동섭 |
청소위생과장 | 이정동 |
건설과장 | 이동호 |
도시시설과장 | 이덕수 |
건축과장 | 강대학 |
교통과장 | 곽국일 |
공원녹지과장 | 권세원 |
보건과장 | 정기수 |
농업정책과장 | 곽병록 |
시설관리사업소장 | 박영기 |
○의회사무과참석자 | |
사무과장 | 조병로 |
전문위원 | 차형근 |
의사담당 | 김철훈 |
지방행정주사보 | 박윤희 |
속기사 | 배진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