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2회 달성군의회(제2차 정례회)
달성군의회사무과
2013년 11월 22일(금) 10시
의사일정(제3차 본회의)
1.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2.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
부의된 안건
1.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2.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군수제출)
(10시00분 개의)
○의장 배사돌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제222회 달성군의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를 개의합니다.
1.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의장 배사돌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상정합니다.
상정된 조례안에 대하여 질의‧토론을 거쳐 의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상정된 조례안에 대하여 질의나 토론하실 의원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질의‧토론하실 의원이 없으므로 질의 및 토론을 종결하고 바로 의결하도록 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원안대로 의결코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있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2.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군수제출)
○의장 배사돌 다음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2항,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을 상정합니다.
제1차 및 제2차 본회의에 이어 오늘 계획된 부서의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 받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공원녹지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원녹지과장 권세원 공원녹지과장 권세원입니다.
공원녹지과 2013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45쪽입니다.
아름다운 녹지 조성입니다.
가로변 및 녹지시설 유지‧관리를 위하여 수목 관리는 전정을 실시하였고 병해충방제 등을 실시하였습니다.
완충녹지 관리를 위하여 제초작업 및 덩굴 제거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꽃길 및 초화원, 꽃조형물 조성 및 관리를 위하여 유채꽃밭 및 코스모스길을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조경시설인 의자 및 분수시설 등을 완료하였습니다.
아름다운 달성만들기 사업을 위하여 주요도로변 가로수 및 띠녹지에 대해서 꽃식재 및 조경수를 식재하였습니다.
또한, 쌈지공원 및 공한지 녹지조성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246쪽입니다.
낙동강변 꽃거리 조성 및 녹색복지숲 조성, 다사 미관광장 개선사업은 완료한 상태이며 100년 숲 조성사업은 지금 현재 진행 중에 있음을 보고드립니다.
247쪽입니다.
산림자원화 기반 구축을 위하여 참꽃군락지 생육환경개선 및 임도 사업, 비슬산등산로 정비공사, 조림 사업, 조림지 숲가꾸기사업, 사방사업은 일단 완료를 한 상태입니다.
등산로 신설 및 정비사업은 현재 추진 중에 있음을 보고드립니다.
248쪽입니다.
산림보호 대책입니다.
산불방지 대책으로 공원녹지과 및 읍‧면에 산불방지종합대책본부를 내년 5월 15일까지 설치‧운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산불진화용 헬기 1대를 임차하여 내년 산불기간에 운영할 계획이며, 산불예방 인력 및 진화장비를 확보한 상태입니다.
또한, 산불진화대 25명과 산불유급감시원 121명을 읍‧면에 배치한 상태입니다.
또한, 홍보활동으로 산불예방 현수막 및 차량 깃발, 테이프를 제작하여 배부한 상태입니다.
249쪽입니다.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 사업으로 화원 구라리, 유가 한정리, 논공 북리 일원에 대하여 완전방제 사업으로 171Ha, 예방나무주사 20Ha, 항공방제 550Ha를 실시한 상태입니다.
또한, 예찰방제단 6명으로 해서 산림병해충 예찰활동과 고사목 및 피해목 제거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250쪽입니다.
보호수 유지 관리를 위하여 외과수술 및 주변환경정비를 보호수 14개소에 보호수 생육상태 개선과 외과수술 및 수형조절을 한 상태입니다.
또한, 산림유전자원 보호림 정비를 위하여 옥포면 교항리 이팝나무군락지에 대하여 생육개선과 보호시설 설치를 완료하였습니다.
251쪽입니다.
쾌적한 공원‧유원지 조성관리로 은행나무 12만 4,000그루에 대하여 제초 및 전정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병해충 방제 및 초화류 식재 및 관수를 하였고 조경시설 보수 및 관리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공원‧유원지 경관개선 사업을 추진하여 첨단산업단지 외 1개소에 대하여 초화단지를 조성하였고 화원 미리내어린이공원 외 1개소를 재정비하였습니다.
또한, 공원 내에 체육시설물 설치 및 산책로 보수를 정비하였습니다.
252쪽입니다.
공원‧유원지 조성 관리 및 사업 추진 현황입니다.
본리택지 어린이공원 재정비공사 외 5개소는 완료하였고 명곡체육공원 다목적운동장조성 사업과 비슬산자연휴양림 주차장 증설공사, 비슬산군립공원 계획변경용역은 내년 1월과 내년 4월에 완공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공원녹지과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공원녹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정책사업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사업과장 황영근 정책사업과장 황영근입니다.
정책사업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55쪽입니다.
100년 기념사업의 차질없는 추진과 새로운 100년 달성 초석 마련입니다.
100년 달성 기념사업은 100대 경관명소 사진 발굴 등 3개년 사업으로서 4개 사업은 완료되었고 추진 중은 8개 사업이며 내년도에 추진될 사업은 개청 100주년 기념식 및 축하공연 행사가 되겠습니다.
256쪽입니다.
기타 100년 사업 추진내용으로는 ‘달성의 금석문’ 책자 발간과 개청 100년 맞이 기념식 개최, 개청 100년 맞이 직원 결의대회 개최 및 100년 달성 기념사업 자원봉사단의 활동으로는 지역별 간담회 개최와 어울마당을 개최하였으며 각종 군 단위 행사에 참여하여 다양한 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역사인물동산 조성은 금년 12월까지 제작 및 설치 완료할 예정이며, 달성백서 발간사업은 교정 작업을 마치고 내년 1월 편집 및 출판예정입니다.
258쪽입니다.
화원읍 본리2리(마비정) 로하스 테마마을 조성사업은 지난 6월 농촌체험전시장 건립 후에 일부 벽화 보강 및 홍보안내판을 추가로 설치하였으며 조성결과 국토교통부 주관 2013년도 마을만들기 부문 도시대상 수상과 함께 안전행정부 주관 우리마을 향토자원 BEST30선에 선정되었으며 현재 전국적인 관광지로 알려져 지속적인 관광객 증가 및 주민소득 창출을 하고 있습니다.
259쪽입니다.
협력사업 추진입니다.
교도소 이전사업은 2016년 이전을 목표로 편입토지 및 지장물건 보상을 추진하고 있으며 보상추진실적으로는 총 보상액 129억 9,900만 원 중에 보상은 104억 5,800만 원으로 81% 진행 중입니다.
낙동강 학생수련원 건립은 현공정이 골조공사 중으로 현 공정률 55%입니다.
260쪽입니다.
지역 균형개발을 위한 전략사업 추진에 있어 비슬산 대견사지 관광명소화 사업은 중창 상량식에 이어서 2013년 10월 말 기준 현 공정율 70%로 지붕 및 벽체공사 중에 있습니다.
대구교도소 후적지 개발 기본구상용역은 주민공청회 개최와 중간보고회 개최를 하였으며 법무부, 기재부, 국토부와 이전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협의를 추진 중에 있으며, 달성 관광단지 조성 추진은 타당성 기본조사 결과를 토대로 투자기관 협의 및 민자유치를 위한 홍보동영상 제작용역 발주와 투자유치 홍보 및 상담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하향주 명품화 사업」추진을 위해 농촌자원복합사업화 국비지원사업에 공모를 신청하여 광특보조금 1억 4,000만 원과 시비 3,500만 원을 확정내시 통보받았습니다.
261쪽입니다.
비슬산 금수암 전망대 설치공사는 11월 말 준공예정이며 대구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 유치활동 결과는 현재 대구시에서 용역결과 최종보고회 및 향후 일정을 보류한 상태로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화원지구 뉴타운 조성 타당성 등 조사용역 사업은 지난 9월 착수보고회 개최에 이어 11월 말에 주민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262쪽입니다.
지역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정책 추진사업으로는 인재육성을 위한 달성장학회 운영과 학교환경 개선사업에 10억 원, 인재양성스쿨 지원에 3억 원, 방과후 학교운영지원에 2억 4,500만 원, 기숙형고교 기숙사 운영지원에 2억 원, 학교급식 식품비 4억 8,000만 원과 계명대 향토생활관 건립지원 2억 원, 영어마을 체험학습 지원에 11억 5,000만 원, 원어민 영어교실 운영에 6억 3,000만 원 등, 17개 사업에 지역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하였습니다.
264쪽입니다.
도서관 건립사업 추진입니다.
달성군립도서관 건립은 12월 말 준공예정이며 내년 3월에 개관 예정으로 현 공정률 75% 이며, 읍‧면별 작은도서관 조성사업은 화원, 논공, 다사, 가창, 구지, 5개 읍‧면에 이미 개관을 하였습니다.
지역 사립문고에 대해서는 시 지원 선정된 4개소와 군에서 지원 선정된 8개소에 대해 각각 1,000만 원씩 지원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정책사업과 소관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정책사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경제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과장 이홍순 경제과장 이홍순입니다.
경제과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67쪽입니다.
중소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입니다.
중소기업 육성을 위하여 중소기업 경영자금 지원을 설‧추석 137개 업체에 404억 3,000만 원을 융자지원 하였으며, 중소기업 1사 1담당제 운영도 매분기 1회, 업체를 방문하여 애로‧건의사항을 수렴하여 접수 21건, 해결 21건을 조치하였습니다.
기업체 대표자 간담회 개최는 상‧하반기 2회를 실시하였고 근로자 사기진작으로 모범근로자 해외 산업연수 2회 실시로 52명, 3,8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모범근로자 국내 산업연수 제주도 42명, 1,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68쪽입니다.
협력적 노사관계 확립을 위하여 근로자의 날 노사화합 한마당 개최와 근로자 체육대회, 노조간부 집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물가안정 관리 및 유통질서 확립을 위하여 물가모니터 요원 4명으로 하여금 가격조사 매주 1회를 실시하고 있으며 물가안정 모범업소 쓰레기봉투 지원도 1,24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유통질서 확립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불법 공산품 유통 점검‧단속과 원산지 표시위반 및 위조상품 유통행위 단속도 실시하여 위반업소 16개 업소에 대하여 시정권고 조치를 하였으며, 전통시장 시설확충 및 환경개선사업으로 화원시장 주차장 확충사업은 화원 천내리 860-2번지의 4필지, 283평에 사업비 12억 원으로, 270쪽입니다.
현재 지장물 철거 및 주차장 조성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현풍시장 공연장 및 비가림 시설 사업은 사업규모 막구조 1식, 바닥시공 공사, 무대조명 설치 외 전기공사 등으로 사업비 2억 3,300만 원으로서 계약심사 후 현재 공사시행 중에 있습니다.
현풍시장 문화관광형 특성화사업 추진도 현재 2차 계속 사업으로서 차질없이 마무리토록 하겠습니다.
271쪽입니다.
녹색 에너지 공급 및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먼저, 석유판매업소 관리‧점검을 한국석유관리원과 합동으로 점검하여 위반업소 5개업소에 대하여 고발 및 행정처분을 하였으며, 가짜석유제품(시너) 행위단속도 월 2~3회 단속하여 위반업소 고발 및 시너 177통을 압수 조치하였습니다.
가스공급시설 안전 점검도 위반업소 7개소에 대해서 행정조치를 하였습니다.
272쪽입니다.
승강기 안전검사는 불합격 5대에 대해서 운행정지명령을 조치하였으며, 전기설비 안전 점검도 부적합 191개소에 대해서 시설 개선 명령, 자체시정 조치를 하였습니다.
계량증명업소 관리와 실량표시상품 검사는 위반사항 및 위반상품이 없었습니다.
다음은 산업 및 연구단지 조성 및 투자지원사업입니다.
먼저, 대구테크노폴리스 조성 지원사업은 금년 12월 사업 준공예정으로서 대구테크노폴리스 공공시설물 이관 추진 T/F팀 운영으로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 인수인계에 철저를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274쪽, 대구국가산업단지 조성 지원사업은 지난 6월 4일 기공식에 이어 1단계 구역은 현재 사업시행 중에 있으며, 2단계 구역도 조기개발 사업추진을 위하여 대구광역시‧산업통상자원부, LH 등 관련기관과 협의해 나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DGIST 학사과정 건립 지원사업은 현재 공정률 85%으로서 내년 3월 경, 학사과정 준공 및 개교 예정에 있습니다.
ITS기반 지능형자동차 부품시험장 조성 사업은 현재 공정률 90%로서 내년 10월경 준공 예정에 있습니다.
276쪽입니다.
국립 대구과학관 건립 지원사업은 지난 11월 1일부터 임시무료개관 중에 있으며 향후 12월 중에 정식 개관예정으로 있습니다.
100년 달성, 과학‧환경대축전은 지난 5월 4일과 5월 5일, 이틀간 국립대구과학관 일원에서 비슬산참꽃문화제와 연계해서 성대하게 개최하였습니다.
일자리 창출 및 지역공동체 육성사업입니다.
먼저, 공공근로사업 추진은 940명이 참여하여 12억 6,100만 원을 집행하였으며 중소기업 취업지원사업 추진도 취업자 12명, 1,200만 원을 집행하였고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추진은 달성가꾸기사업, 휴양림 탐방로 정비사업, 다문화 가정 사업 등, 127명이 참여하여 3억 5,300만 원을 집행하였습니다.
마을기업 육성 사업은 금년도 현풍도깨비시장 상인회, 오설리 향기 농업조합법인 2개소가 선정되었으며 사업실적은 1억 1,200만 원을 집행하였으며 현재 마을기업은 해피베이커리 등 9개소를 운영‧관리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 육성은 5억 200만 원을 재정지원하였으며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78명, 국비지원 육성사업 공모 선정 2개 사업이 선정되었고 달성군 장애인재활자립작업장 등 10개소를 운영‧관리하고 있습니다.
280쪽입니다.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초화류 생산 및 체험장 조성사업은 군비 2억 5,000만 원을 지원하여 위치는 논공읍 상리 843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추진실적은 비닐하우스 3동을 완료‧설치하였으며 곤충체험장, 자연체험장, 포토존을 설치 완료하였으며 계절별 꽃 6만 6,000본을 판매하였습니다.
그리고 달성군 사회적경제 협의회 출범을 지난 7월 19일 출범을 하였으며 사회적 경제희망한마당 대축제 행사도 지난 10월 19일 달성보 천년별빛광장에서 성대하게 개최하였습니다.
일자리 창출 1번지 달성 만들기 사업 추진입니다.
「달성 일자리 센터」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지역 상담사 2명을 배치하여 취업상담 및 알선으로 취업 211명을 알선 조치하였습니다.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추진도 달성1차 산업단지 관리공단과 우리 군과 컨소시엄 사업추진으로 기업체 구인난 해소 및 고용안정 기반 지원 사업도 하고 있습니다.
「대구테크노폴리스 고용협의체」운영을 통해서 취업 151명을 올해 취업 알선을 하였습니다.
2013년도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사업 경진대회「사회적기업부문」우수상 수상 인센티브로서 사업비 2억 5,000만 원으로 내년도 사회적경제 리버 힐링센터 조성사업을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경제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경제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문화체육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체육과장 신기용 문화체육과장 신기용입니다.
문화체육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87쪽입니다.
먼저, 문화예술진흥 및 문화행사 추진입니다.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역량강화를 위해 달성문화재단과 문화센터에 운영사업비 43억 9,000만 원을 지원하여 내실 운영과 활동을 제고하고 문화예술단체 지원육성으로 문화원 사업 활동과 위탁운영비 지원을 비롯하여 하빈들소리 등 4개 민속예술단체와 향교, 합창단 운영을 지원하였습니다.
288쪽입니다.
군민과 함께 하는 문화행사 개최로 1월 1일 신년 해맞이 행사, 2월 24일 달성보에서 개최한 정월대보름 달맞이 문화제에 이어 5월 1일부터 8일간 제16회 비슬산 참꽃문화제를 군민과 전국 관광객 26만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하였습니다.
다음, 대구 강정현대미술제를 8월 2일부터 8월 18일까지 강정보 디아크 일원에서 개최하고 올해 처음으로 9월 7일 경상 감영공원, 현풍시가지 등 3개소에서 사액봉행 퍼레이드, 사액봉행을 재현한 도동서원제와 9월 27일부터 28일에는 국내 최초 피아노 유입과정을 엮은 다큐뮤지컬 ‘귀신통 납시오’를 많은 대내외 시민들의 호응 속에 공연하였습니다.
290쪽입니다.
10월 4일부터 이틀간 작년에 이어 100대 피아노 콘서트를 개최하여 2만여 명의 관광객이 참여한 가운데 우리 군의 향토정서와 군민의 자긍심을 담은 ‘달성아리랑’을 창작‧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다음, 문화도시육성을 위한 공모 사업추진으로 마을미술 프로젝트 사업을 논공읍 하1리에 추진하여 지난 9월 30일 1차년도 사업인 8종 27점에 조형물과 입체벽화를 완료하고 2014년도에 계속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군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체육진흥입니다.
군민과 함께 하는 체육행사로 4월 28일 제2회 낙동강 물레길 전국마라톤 대회와 10월 9일 군민의 날 기념 제18회 군민체육대회를 개최하여 100년 달성을 함께 하는 다짐과 군민화합의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건전한 여가문화를 위한 생활체육 운영을 위해 여성 생활체육강좌 등 3개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체육연합회 육성관리 등 군 생활체육회 운영 지원과 지도를 추진했습니다.
292쪽입니다.
전문 엘리트 체육 육성을 위한 실업팀 운영으로 실업정구부와 장애인 휠체어 테니스단의 내실운영과 안정적 지원으로 양팀 모두 전국체육대회 2연패 우승의 값진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다음, 청소년의 스포츠생활 지원을 위해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태권도 등 6개 종목에 스포츠이용권을 지원하였습니다.
293쪽, 건강 100세를 위한 공공체육시설 확충입니다.
종합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은 지난 9월 토목건축 구조물 공사 중 3차분 공사를 완료하고 11월 현재 조경, 포장, 전기 및 부대시설 공사 중이며, 마지막 공정을 12월 말 완공예정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294쪽입니다.
국민체육센터는 2010년 12월 착공 후, 지난 10월 29일 개관하여 정기회원을 모집, 현재 수영 524명, 아쿠아로빅 80명, 헬스 205명 등 809명이 등록, 이용하고 있습니다.
끝으로 달성강변야구장 조성 사업은 사회인 야구장 4면 규모로 논공읍 위천리 고령교와 성산대교 사이 강변둔치에 지난 8월 착공하여 올해 12월 10일경에 완공 예정으로 마무리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문화체육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문화체육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관광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광과장 표준식 관광과장 표준식입니다.
관광과 2013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99페이지입니다.
명품 관광달성 이미지 제고입니다.
달성여행 관광책자를 4개 국어로 제작해서 주요 관광지에 배부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관광입체지도 제작 및 배부와 관광 홍보 기념품도 제작을 하였습니다.
올해 2월 서울 코엑스 박람회에서 대구시와 공동으로 참여했고 올해 9월 부산국제관광전에 참여해서 달성군을 홍보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관광안내판 등을 정비하고 올해 비슬산 참꽃문화제 홍보마케팅을 실시하였습니다.
301페이지입니다.
찾아오는 관광달성 구축을 위한 콘텐츠 및 기반 강화입니다.
올해 8월 중국 일조시에서 우리 군을 방문을 하였습니다.
양국 교류관련 간담회를 개최하고 주요 관광지 방문 및 산업시찰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인기 TV 프로그램 SBS ‘런닝맨’을 섭외해서 마비정 벽화마을에 촬영을 하고 TV방영을 하였습니다.
거기에 따라서 저희들이 홍보 현수막과 안내판 등을 제작 설치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관광객 유치 및 관광활성화를 위한 동대구역과의 MOU도 체결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대구 수성구와 청도군과 연계한 한방 ‘휴’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중국관광객 유치를 위해서 중국 항주 TV, 중국 광저우 TV를 통한 홍보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달성 한일우호관에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충효 예절 프로그램을 운영했습니다.
그리고 한국 관광클럽 초청 달성 팸 투어를 지원하였습니다.
전국 여행사 대표자, 신문사 등을 중심으로 구성된 한국관광클럽과 달성군 관광진흥을 위한 MOU도 체결을 했고 전국 여행블로거 기자단 30여명을 초청해서 달성 愛, 달성 사랑 팸 투어도 실시를 하였습니다.
유원시설업 및 여행업소 관리와 소외계층 여행 장려입니다.
유원시설업 관리와 여행업소를 관리하고 지도‧점검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해 바우처 사업도 함께 추진을 하였습니다.
303페이지입니다.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지 개발입니다.
지역 특성 및 기존 자원과 연계한 효율적인 관광자원 개발이 되겠습니다.
먼저, 비슬산권 관광개발사업 추진입니다.
유가면 양리 일원이 되겠습니다.
올해 7월에 공사를 착공해서 일부 사업을 마무리하고 나머지 사업은 추진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비슬산 둘레길 조성 추진 사업은 올해 8월, 1구간을 완공‧준공했고 2구간은 공사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낙동강 레포츠밸리 조성 추진은 구지면 오설리 일원이 되겠습니다.
현재 대구시 일상감사 및 계약심사를 거쳐 문화체육관광부와 업무를 협의하고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사문진 역사공원 조성 추진입니다.
올해 8월에 조성 공사를 시행해서 현재 부산지방국토관리청으로부터 준공 검사를 마쳤습니다.
사업 내용은 주막동 3개, 실개천 및 분수, 피아노 광장, 선착장인 계류장, 나룻배 제작, 우리나라 최초 피아노 유입지 피아노 기념비, ‘임자 없는 나룻배’ 촬영지, 영화 촬영 기념비 등이 되겠습니다.
다음 주가 되겠습니다.
11월 30일 토요일 오후 1시에 저희들이 주막촌 개촌식을 가질 계획입니다.
305페이지입니다.
전통문화유산 전승 및 지원입니다.
국가지정문화재와 대구광역시 문화재를 지정 추진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도동서원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에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어 있고 내년 1월에 등재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입니다.
문화재 경상관리로 문화재 정기조사 및 안전점검을 실시를 했고 달성의 유적과 유물 도록 제작에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지정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을 마련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무형문화재 전승 보존‧육성입니다.
무형문화재 전승지원금과 공개행사 지원을 했습니다.
전액 시비가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문화재 보수‧정비 및 전통사찰 보존관리 지원입니다.
국가지정문화재와 시지정문화재를 보수‧정비했습니다.
그리고 향토문화재와 전통사찰을 보수‧정비했습니다.
이상으로 관광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관광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보건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과장 정기수 보건과장 정기수입니다.
보건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09페이지, 보건의료 서비스 강화입니다.
달성 주민건강증진센터 건립 사업은 현재 지상1층에 골조공사가 진행 중이며 2014년 4월경에 준공예정입니다.
국가 암관리사업으로 암조기 발견을 위하여 1만 665명에게 암검진을 실시하였고 암환자 202명에게 2억 3,900만 원의 의료비를 지원하였습니다.
310페이지입니다.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으로 만성신부전증 등 136명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였습니다.
지역의 보건통계 작성을 위하여 지역 주민을 표본 대상자로 선정하여 질병이환 등 보건지표에 대한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다음은 지역주민 건강증진 통합서비스입니다.
건강한 혈관 지킴이 사업으로 고혈압, 당뇨환자, 6,471명을 등록‧관리하였으며 고혈압‧당뇨교실을 27회 운영하였습니다.
「질병 DOWN! 건강 UP!」사업으로 직장인 건강반올림과 비만탈출교실, 트라이앵글 홍보관 등을 운영하였으며 함께 만들어가는 건강달성 사업으로 유아 몸튼튼 키쑥쑥과 청소년 건강지킴이 및 성장바름이 등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12페이지, 금연사업으로 흡연자에 대한 금연클리닉 등록‧관리와 산업체 이동 금연클리닉 운영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금연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을 하고 있습니다.
방문건강관리 사업으로는 방문전담 간호사 6명이 지역별 취약계층, 4,300여 가구를 대상으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재가중증장애인 107명에게 방문물리치료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치매관리사업으로는 치매간이선별검사를
5,662명에게 실시하여 512명을 등록‧관리하고 있으며 치매환자 374명에게 약제비를 지원하였습니다.
다음은 구강건강관리 사업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대상으로 어린이 양치교실을 운영하고 기초수급권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는 구강예방진료를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3개교에 학교구강보건실을 운영하였습니다.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으로는 중풍예방교실과 관절염예방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인 복지관에 방문진료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영양플러스사업으로 임산부, 영유아 230여명에게 보충식품을 지원하였으며 임산부 건강증진사업으로는 철분제와 엽산제를 지원하고 임신기초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314페이지입니다.
저출산 극복과 모자건강관리 사업입니다.
모자건강사업으로 영유아 건강증진을 위하여 선천성 대사 이상검사와 미숙아 등 의료비 지원과 국가필수예방접종을 2만 3,367명에게 실시하였으며 모성건강증진을 위하여 모유수유 교육과 임산부 요가 등 출산준비교실을 운영하였습니다.
출산장려 정책으로는 난임부부 지원과 산모‧신생아 도우미 지원과 또 출산축하금을 1,443명에게 지급하였습니다.
다음은 행복한 노년을 위한 보건서비스 제공입니다.
65세 전후 어르신을 대상으로 경로당 등에서 댄스, 요가, 실버체조 등 노인 운동교실을 운영하였으며 정신보건 사업은 정신건강증진센터 위탁 운영과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운영 지원과 정신의료기관 연계관리 및 지도‧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감염병 예방 및 의약업소 관리입니다.
감염병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하여 질병정보모니터 75개소를 지정‧운영하였으며 하절기에는 주 2회 이상 방역 취약지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였습니다.
결핵환자 관리를 위하여 객담검사 등 검진을 6,809건을 실시하였고 병‧의원의 결핵환자도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병‧의원과 약국 151개소를 지도‧점검하여 건전한 의료행위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건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보건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촌지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촌지도과장 류윤욱 농촌지도과장 류윤욱입니다.
농촌지도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19쪽입니다.
친환경 고품질 식량작물 생산은 생산기반 조성을 위해서 벼 육묘용 상토 지원과 군정홍보용 팜아트 전시포 조성, 정부 보급종 4종을 공급하였습니다.
320쪽입니다.
원예작물 생산입니다.
에너지 절감기술 컨설팅 지원을 위해서 열화상 장비, 탄산가스 측정기 등을 활용하여 진단분석 및 처방을 하였으며 원예작물 생산확대를 위해서 시설토양 환경개선, 하우스 환경개선 및 동간피복재를 지원하였으며, 321쪽입니다.
과수‧특용작물‧축산물 생산 경쟁력 강화입니다.
과일 안정생산을 위해서 모노레일 보급과 월동병해충 방제용 석회황합제를 보급하였으며 잡초예방 부직포를 보급했습니다.
322쪽입니다.
농업인 전문능력 배양입니다.
농업 전문교육을 위해서 새해농업인 실용교육과 농업현장 순회교육, 품목별 전문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323쪽입니다.
도시농업 활성화 및 농촌생활자원 발굴입니다.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해서 도시농업 아카데미 운영과 체험 및 학습원을 조성하였으며, 체험농장 조성을 10개소 설치하였습니다.
여성농업인 전문능력 배양을 위해서 생활과학 기술교육과 여성지도자 양성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324쪽입니다.
농업인조직체 육성입니다.
농촌지도자회 조직 활성화를 지원했으며 농업경영인 정착 지원과 하계 수련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생활개선회 육성을 위해서 각종 교육 22회 및 봉사활동 5회를 했으며 4-H 조직 활성화를 위해서 조직 11개회를 지도하고 있으며, 325쪽입니다.
농기계 임대를 통한 농작업 효율화 향상입니다.
농기계 임대사업장 3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농산물 유통 활성화 지원을 위해서 포장재 지원과 토양전염병 방제 약제를 지원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농촌지도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농촌지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설관리사업소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설관리사업소장 차형근 시설관리사업소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29쪽입니다.
체육시설물 안전검점 및 유지관리입니다.
하절기 자연재난 사전대비 체육시설물 안전검점을 실시하였습니다.
점검대상은 53개 체육시설이며 공공시설이 13개, 동네 체육시설이 40개소로 점검결과 양호가 48개소, 지적 5개소에 대해서 보수 및 조치를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군민체육관, 다사체육공원, 가창체육공원 등 공공체육시설물 사용자를 위해 체계적으로 운영‧관리하였습니다.
다음은 체육시설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해 공공체육시설물 정비를 완료하였습니다.
공공체육시설물 보수, 군민체육관 2개소에 조명등 보수, 사업비 9,000만 원을 들여 군민운동장 내 족구장 설치를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군민운동장 평탄작업과 사업비 2,200만 원을 들여 다사체육공원 내에 조경수 식재 및 화단정비를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다사체육공원 뒤편 배수로 준설 사업도 완료하였으며 논공 남리 인조잔디축구장
정비사업 및 실시설계용역을 마쳤습니다.
화원 인라인스케이트장 뒤편 배수로 정비사업도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주민편의를 위한 동네체육시설 설치 및 관리입니다.
7,540만 원을 들여 9개소에 동네체육시설 신규 설치를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하빈 현내3리 동네체육시설, 940만 원을 들여 논공 남리(자전거도로) 동네체육시설도 완료하였습니다.
구지 가천리 동네체육시설도 완료하였습니다.
논공 삼리리 동네체육시설도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1,340만 원을 들여 19개소에 동네체육시설물을 보수‧완료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의 효율적 유지관리입니다.
분리된 공공체육시설, 비슬산‧화원휴양림 홈페이지 통합‧개편 및 공공체육시설 예약시스템 개선을 위해 시설관리사업소 통합 홈페이지를 구축‧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자연친화적 휴양림 조성입니다.
비슬산자연휴양림 얼음동산을 조성‧운영하였으며 연인원 13만명이 다녀갔습니다.
비슬산자연휴양림 태풍피해 공한지를 대상으로 0.6Ha에 576그루 편백나무를 조림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숲속의 작은 음악회를 개최하였습니다.
4,400만 원을 들여 화원자연휴양림 숲속 유치원 기반 조성을 완료하였고 화원자연휴양림 곤충체험장도 설치‧완료하였습니다.
화원자연휴양림 산림서비스 도우미 운영도 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휴양림 방문객 편익시설 정비 및 확충입니다.
비슬산자연휴양림 숙박시설 내에 유선방송망을 설치‧완료하였고 비슬산자연휴양림 위험수목 28그루를 제거하였습니다.
또한, 비슬산자연휴양림 안내판 7개소 경로안내판을 설치‧완료하였습니다.
비슬산자연휴양림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를 완료하였습니다.
사업비는 500만 원이고 숙박시설에 테크로드를 설치하여 장애인들이 휴양림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비슬산자연휴양림 산책로 585m를 정비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화원자연휴양림 숙박시설 내에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였으며 사업비는 500만 원이고 숲속의 집 1개소, 산림문화휴양관 2개소에 경사로 및 목재데크를 설치‧완료하였습니다.
4,400만 원을 들여 화원자연휴양림 계곡하상준설 및 물놀이장도 설치‧완료하였습니다.
343페이지입니다.
화원자연휴양림 삼림욕장 진입로 안전휀스를 설치‧완료하였습니다.
화원자연휴양림 숙박시설 보수를 완료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시설관리사업소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배사돌 시설관리사업소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사흘간에 걸쳐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모두 보고 받았습니다.
보고하신 실‧과‧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11시47분)
다음은 휴회 결의를 하겠습니다.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 활동을 위하여 11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9일간 본회의를 휴회하고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있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이것으로 오늘 회의를 모두 마치겠으며, 12월 4일 오전 10시 소회의실에서 제4차 본회의를 열어 2014년도 세입세출예산안에 대한 보고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0시48분 산회)
○출석의원(8인) |
배사돌김기석하용하정수헌 |
채명지김길수송성열김옥순 |
○출석공무원 | |
군수 | 김문오 |
부군수 | 최삼룡 |
안전행정국장 | 서정길 |
주민복지국장 | 전종율 |
건설도시국장 | 남정호 |
정책사업단장 | 김재환 |
보건소장 | 박미영 |
농업기술센터소장 | 구본은 |
기획감사실장 | 최상진 |
안전행정과장 | 신성진 |
세무과장 | 이상호 |
회계과장 | 서점태 |
종합민원과장 | 김종호 |
토지정보과장 | 신후남 |
정보통신과장 | 곽국일 |
주민지원과장 | 김대환 |
사회복지과장 | 이영환 |
희망지원과장 | 이경화 |
농업정책과장 | 김현태 |
환경과장 | 강성환 |
청소위생과장 | 허남철 |
건설과장 | 이정균 |
도시과장 | 이태목 |
치수방재과장 | 이강술 |
건축과장 | 강대학 |
공원녹지과장 | 권세원 |
정책사업과장 | 황영근 |
경제과장 | 이홍순 |
문화체육과장 | 신기용 |
관광과장 | 표준식 |
보건과장 | 정기수 |
농촌지도과장 | 류윤욱 |
시설관리사업 | 차형근 |
○의회사무과참석자 | |
사무과장 | 석동용 |
전문위원 | 김성모 |
전문위원 | 김복수 |
의사담당 | 김철훈 |
지방행정주사 | 박윤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