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6회 달성군의회(제1차 정례회)
달성군의회사무과
2015년 7월 13일(월) 10시
의사일정(제2차 본회의)
1. 2015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ㆍ청취의 건
부의된 안건
1. 2015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ㆍ청취의 건(군수제출)
(10시00분 개의)
○의장 채명지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제236회 달성군의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개의합니다.
1. 2015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ㆍ청취의 건(군수제출)
○의장 채명지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15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ㆍ청취의 건을 상정합니다.
지난 금요일에 이어 오늘 계획된 부서의 2015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보고에 앞서 실·과장님들께서는 업무보고를 하실 때 중요한 부분만, 핵심만 보고를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그러면 먼저 환경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과장 송종구 환경과장 송종구입니다.
환경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57쪽,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사는 환경행정 추진입니다.
자연보호협의회 등 민간 환경단체 지원을 통한 환경보호활동을 실시하고, 생태계 교란 동ㆍ식물 제거 및 환경의식 고취를 위한 주민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환경오염물질 배출 원인자 부담을 위해 환경개선부담금을 2만 7천여 건을 부과하였습니다.
다음 158페이지입니다. 유해 야생동물로 인한 주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유해 야생동물 대행 포획허가와 기동포획단을 운영하고, 전기울타리 설치 지원, 야생동물 기피제 구입 배부, 농작물 피해에 대한 보상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및 환경보건 관리를 위해 석면 피해 구제제도를 운영하여 4건 보상하였으며, 석면 슬레이트 처리 지원사업 70동을 추진하였습니다.
다음 160쪽입니다. 저탄소 생활을 통한 기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자 친환경 생활 실천 캠페인 및 실천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포인트제 1만 1,200세대를 가입하였습니다.
다음, 맑은 공기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해 공사장 비산먼지ㆍ소음 관리와, 환경신문고를 운영하였습니다.
수질감시초소 3개소를 운영하고 오염사고 우려지역 오일휀스를 2개소 설치하여 상시 운영하였습니다.
현풍 공업지역 완충저류시설을 국비 70억 원을 지원받아 공사 중에 있습니다.
다음 162쪽입니다.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해 폐수 배출업소를 지도 점검하고, 생활 주변 환경오염원 관리를 위해 석유류 취급업소 등 토양오염원 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지하수 1,936개소와 온천 이용시설 5개소, 약수터 4개소에 대한 정기 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오수·분뇨의 철저한 관리로 수질오염을 예방코자 개인 하수처리시설 4,305개소에 내부청소 안내와, 분뇨 관련 영업자 7개 업체에 친절교육을 실시하고, 쾌적한 화장실문화 조성을 위해 중점 관리대상 공중화장실 96개소를 정기점검 하고 노후·불량 공중화장실 2개소에 개·보수를 하였습니다.
다음 164쪽 마지막으로 상수원보호구역 관리입니다.
보호구역 2개 지역에 대하여 감시인력 12명을 배치하여 중점 관리하고 있으며, 상수도보호구역 주민지원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환경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환경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청소위생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청소위생과장 채후식 청소위생과장 채후식입니다.
청소위생과 소관 업무보고를 드리겠습니다.
167쪽입니다. 생활쓰레기 적기 수거로 깨끗한 환경 조성을 위해 취약지역 쓰레기 불법투기 지도 단속을 실시하였으며, CCTV 7대도 설치하였습니다.
청소 관련 시책홍보로 4종 5만 부의 홍보물을 제작, 배부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재활용 분리배출 활성화를 위해 분리수거용 그물망 6,000개를 시범 공급하였으며, 음식물쓰레기 감량 및 분리수거 정착을 위해 공동주택단지에 전자계량방식 기기를 추가 설치 중에 있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폐기물 관련 인허가업무 신속 처리로 폐기물 처리업 허가 등 635건을 처리하고, 폐기물 관련 민원사항도 15건 처리하였습니다.
폐기물 처리업체 및 폐기물 배출사업장 135개소를 점검하여 위반업소 4개소에 과태료 1,100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친절·청결한 참맛 집’ 만들기 운동 추진으로 일반음식점 40개소를 대상으로 현장방문 맞춤식 친절·청결 위탁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대구음식관광박람회 친절시연·경연대회에서 금상 1개소 장려상 2개소 특별상 1개소가 수상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모범음식점 등 우수업소에 인센티브 지원으로 모범음식점에 상수도료 및 쓰레기봉투 등 구입비를 지원하고, 지하수 사용업소에 수질검사도 지원하였습니다.
지역 음식점 활성화를 위한 홍보 마케팅 사업으로, 제18회 비슬산 참꽃문화제에 2015인분 사찰발우 주먹밥 만들기 시식회에서 사찰발우 주먹밥으로 많은 호응을 받았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불법 영업행위에 대한 집중단속 실시입니다. 노래연습장, PC방 등 불법 영업행위에 대한 집중단속도 실시하였습니다.
노래연습장 등 다중이용업소 안전점검으로, 동절기 화재 취약업소 지도 점검과 안전대진단 및 특정관리 대상시설 안전점검도 실시하였습니다.
175쪽입니다. 식품 제조·가공업소의 식품 안전관리 실현을 위해 안전식품 인증기준 적용업체를 18개소로 확대 지정하였으며, 유통ㆍ판매단계의 식품사고 사전 예방을 위한 노력도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먹거리 식품안전 역량 강화입니다. 어린이 급식소 등록 114개소에 대해 위생·안전관리, 영양 방문지도를 실시하였으며, 어린이 식품 안전보호구역을 29개 보호구역 37개 학교로 지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청소위생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설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설과장 이정균 건설과장 이정균입니다.
건설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181쪽입니다. 체계적인 건설행정 관리 중 전문건설업 관리 강화입니다. 관내 등록된 전문건설업 중에 주기적 신고 대상 126개 중 36개 업체를 신고 수리하였습니다.
또한 국유재산 1만 3,266필지, 공유재산 1만 8,615필지를 실태조사 하여 공유재산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182쪽입니다. 건설사업 추진입니다.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해 219건에 1,221억 7,600만 원을 투입하여 도로망 확충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시계획도로는 167건에 905억 100만 원이며 이 중 계속사업이 104건, 신규사업이 63건입니다.
183쪽입니다. 군도 및 기타 도로는 52건에 316억 7,500만 원이며, 이 중 계속사업이 16건, 신규사업이 36건입니다.
184쪽입니다. 도로시설물 관리입니다.
도로시설물의 유지 관리를 강화하여 교통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있습니다. 45억 6,800만 원으로 아스팔트 도로포장 보수를 하고 있으며, 도로시설물의 효율적인 정비를 위해 적기에 도로를 보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특법에 의거, 주요 교량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관내 20m 미만 도로에 대해 영조물 배상공제에 가입하여 도로시설물 유지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185쪽입니다. 타 기관 현안사업입니다.
국가사업은 부산국토관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도 5호선 확장공사로 현재 89% 공정을 보이고 있으며 금년 9월 준공 예정입니다.
대구국가산업단지 진입도로는 신설되는 현풍IC~산업단지 동측까지와, 확장되는 현풍IC~산업단지 북측까지 도로로 2018년 6월 준공 예정입니다.
기존 성주대교 하류에 교량을 하나 더 건설하는 성주대교 개축공사는 2020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186쪽입니다. 다음은 한국도로공사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대구순환고속도로 성서~지천 간은 현재 보상협의 중이며 2019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그리고 중부내륙고속도로 창녕~현풍까지 6차로 확장공사는 2016년 착공 예정입니다.
187쪽입니다. 대구광역시 사업으로는, 국가과학산업단지 서편도로는 총 4,150m로 2018년 12월 준공 예정이며, 김흥교차로에서 달성 1차산업단지 간 도로는 현재 보상협의 중으로 2016년 말 준공되겠습니다.
그리고 성서 5차에서 세천구획정리지구 간 도로는 2017년 말 준공 예정입니다. 그리고 현풍천변 도시계획도로 개설사업은 테크노폴리스에서 상리교 구간인 길이 355m를 우선 시행구간을 선정하여 2018년 말 준공되겠습니다.
하빈 동곡에서 감문 간 도로는 현재 폭 10m를 20m로 확장하는 공사로 2018년 말 준공 예정입니다.
그리고 189쪽에서 206쪽까지는 우리 군 사업으로 총 219건이 되겠습니다. 추진율은 90~100% 추진이 24건, 60~89% 추진이 26건, 30~59%가 64건, 10~29%가 83건, 10% 미만이 22건입니다. 세부내용은 유인물과 같습니다.
이상으로 건설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건설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시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과장 현병철 도시과장 현병철입니다.
도시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209쪽입니다.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추진으로, 생활편익사업 7건, 환경문화사업 2건 등 총 9건을 추진 중이며 지역민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행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음 210쪽입니다. 생활비용 보조사업은 41세대에 60만 원씩 지급 완료하였고, 개발제한구역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211쪽, 달성군 도시계획위원회는 2건의 안건을 처리하였고, 도시계획 분과위원회는 5회 개최하여 13건의 안건을 처리하였습니다.
212쪽입니다. 도시관리계획 결정은 도로 2개 노선을 결정 고시하였고 토지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토지이용계획 확인과 지형도면 등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213쪽, 도시관리계획 수립 용역은, 급변하는 지역 발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2억 원의 예산으로 추진 중이며 내년 10월까지 완료 예정입니다.
214쪽, 상·하리 지구단위계획 수립은 대구지방환경청에 전략환경영향평가 재협의 중에 있으며, 군 도시계획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대구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요청하겠습니다.
215쪽입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은 옥포 본리지구와 논공 금포지구는 사업이 마무리단계이고 논공 남리지구와 현풍 부리지구는 내년 5월까지 진척이 없을 경우에 대구시에서 지구 지정을 해제할 예정입니다.
다음 217쪽입니다. 하수시설 확충 정비사업으로 다사지역 하수관거 정비는 국·시비 66억 4,000만 원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 5월 준공 예정입니다.
다음 218쪽입니다. 옥포지역 오수관거 설치사업은 총 사업비 189억여 원으로 현재 감리 및 공사 발주 중이고, 다사 세천리 하수관거 정비사업도 현재 공사 착공하였으며 내년 말 준공 예정입니다.
219쪽입니다. 현풍 하수처리구역 오수관로 설계용역은 시비 5억 5,000만 원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경제성 검토, 건설기술 심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 11월까지 완료 예정입니다.
다음 220쪽입니다. 소규모 하수시설 설치사업은 총 9건 28억 5,000만 원으로 추진 중이며, 221쪽 수리시설물 관리는 저수지, 양·배수장 등 시설물 유지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지난해 점검 결과 보수가 필요한 저수지 5개소에 대하여는 연내에 보수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222쪽 농업생산기반시설 사업은 자체사업 84건, 보조사업 27건 등 총 111건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22건을 준공하였고 89건은 정상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 223쪽에서 229쪽은 세부 사업조서입니다.
마지막으로 230쪽이 되겠습니다. 가로등 설치 및 유지 관리사업은 총 8건 중 4건을 준공하였고 4건은 시행 중에 있으며, 양·배수장의 유지 관리도 철저를 기하여 가뭄과 풍수해 사전 대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도시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안전방재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전방재과장 이강술 안전방재과장 이강술입니다.
안전방재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233쪽입니다. 재난 대응능력 및 시설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부서에 115부를 배부하였습니다.
국가 재난 대응 안전한국 훈련을 5월에 실시하였으며, 화원삼거리 등 6개소에서 안전점검의 날 행사를 실시하였습니다.
234쪽입니다. 지역축제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비슬산 참꽃문화제 외 3개 축제에 대하여 행사 1일 전 유관기관 합동으로 점검을 실시하고, 안전관리자문단 운영으로 안전대진단 점검 등을 3회 실시하였습니다.
235쪽입니다. 시특법(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상 281개소, 특정관리대상 214개소에 대한 상반기 정기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236쪽입니다. 군청 인근에 구축하는 생활안전 CCTV 관제센터 구축사업은 건축 및 관제시스템 설계용역 중에 있으며, 12개 분야 1,393개소 시설에 대한 국가 안전대진단을 4월 말까지 완료하였습니다.
237쪽입니다. 안전문화 활성화 및 재난 안전 상황관리입니다.
24시간 상황관리 및 단계별 근무체계 확립으로 재난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안전문화운동 추진을 위하여 해병전우회 외 3개 단체에 보조금을 950만 원 지원하고 육성 관리하였습니다.
239쪽입니다. 자연재난 대비 사전 예방활동 강화입니다.
재난 대비 근무요령에 따라 비상근무 실시로 재난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240쪽입니다. 급경사지 안전대진단, 자연재난 사전 대비 점검 등의 재난 예방활동으로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겠습니다.
242쪽입니다. 관내 하천 및 제방에 3억 500만 원을 투입하여 하천 및 수문 정비를 하였습니다. 9개 읍면 248명으로 지역자율방재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43쪽입니다. 하천 및 재해 예방사업 추진입니다. 총 42건에 사업비가 301억 8,800만 원이며, 이 중 국·시비 보조사업이 11건에 200억 5,800만 원이고 자체사업이 31건에 101억 3,000만 원입니다. 진도는 준공이 7건, 공사 중이 26건, 보상협의 및 실시설계 중이 9건입니다. 추진 중인 공사가 조속히 완료되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247쪽입니다. 천내천 고향의 강 정비공사는 7월 현재 공정 10%로 천내 1교ㆍ2교 교량공사 시공 등 차질 없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진천천 유지수 확보공사는 7월 현재 공정 15%로 관로 1.2㎞를 부설하였습니다.
248쪽입니다. 현풍천 재해 예방사업 실시설계 용역은 7월 현재 용역업체가 선정되어 착수 중에 있으며, 2017년 2월까지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다사 서재 재해위험지구 배수장 설치공사는 7월 현재 배수장 터파기 및 우수박스 시공 중에 있습니다.
249쪽입니다. 다사 서재 2지구 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은 2월 말에 용역을 착수하고 3월에 지구 지정이 완료되었으며 7월 말에 용역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풍수해 저감 종합계획 용역은 4월에 국민안전처 승인을 받아 5월에 준공을 하였습니다.
250쪽입니다. 낙동강변 국가하천 지구 변경 추진입니다. 금년 3월에 우리 군 최종의견이 반영된 국토부안이 수립된 상태로 국토부 행정절차가 완료되는 금년 12월경에 지정고시 될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쾌적한 수변환경을 위한 하천관리 강화입니다.
국·공유재산 현황은 국유재산 2,447필지이고 공유재산 2,091필지입니다. 7월 현재 국가하천 10건, 지방하천 7건의 허가를 하였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안전방재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축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축과장 박병국 건축과장 박병국입니다.
건축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55페이지, 건전한 건축행정 정착입니다.
무허가·위반 건축물 지도 및 단속을 위해 2014년 항측 무허가 건축물 판독자료 1,060건에 대해 항측 공부 및 현장조사를 병행한 결과 비허가 370건, 비철거 234건 등 796건은 정비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정비대상 264건에 대해서는 다시 철거토록 하겠습니다.
건축사 대행업무 사용승인 건축물 및 부설주차장 190개소를 점검한 결과 무허가 신축 등 17건을 적발하여 14건에 대해서는 자진철거 등 시정 완료하였으며, 미시정된 1건은 이행강제금 부과 등 조치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257페이지입니다. 쾌적한 주거환경 개선입니다.
공동주택 관리비용 지원사업 추진을 위해 사업비 10억 원으로 관내 공동주택 준공 후 7년 경과 후 및 지원 후 3년 경과한 아파트단지에 대해 신청을 받은 결과 화원 대곡역 래미안 등 13개 단지를 선정하여 6억 8,7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남은 사업비도 신청을 받아 선정 및 지원토록 하겠습니다.
258페이지, 농촌 빈집 정비사업 추진입니다. 1년 이상 거주 및 사용하지 않고 방치된 주택 또는 건축물의 빈집 철거를 위해 4,500만 원 예산으로 15개 동에 대해 철거 및 폐기물 처리비용으로 동당 3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주택건설 사업장 관리 철저를 위해 관내 승인된 민간아파트 15개 단지에 대해 안전관리계획 이행 등 지도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공공건축물 견실 시공입니다.
100년 달성 기념 상징조형물 설치사업은 지난 5월 28일 100년 달성 뿌리광장에서 100년타워 준공기념식 및 축하 음악회를 개최하였으며, 달성군민체육관 건립공사는 국제공모 시 선정된 우크라이나 업체와 계약이 사실상 어려워 계약 해제 등 법적 검토 중에 있으므로 그 결과에 따라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달성군 보훈회관 건립 등 4개 건립공사는 공정별로 순조롭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61페이지입니다.
맞춤형 주거복지의 현실화를 위해 기초수급자 중 주거급여 대상자를 대상으로 매월 주거급여를 지급하고 있으며, 상반기 주거 현물급여 집수리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5년 사랑의 1,000호 집수리 지원사업 대상자 22가구를 선정하여 가구당 200만 원 정도 7월 중에 시행할 예정입니다.
다음은 263페이지, 아름다운 도시미관 조성입니다.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상징조형물 제작 및 설치를 위해 대구시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시비 2억 원을 확보하였으며, 국토교통부 도시활력 증진지역 개발사업 공모 등 국비 30억을 확보하였습니다.
다음, 우리 군의 경관 발전 도시디자인 분야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지난 6월 25일 사단법인 한국도시설계학회, 사단법인 한국경관학회와 체결하였으며 향후 두 기관과 면밀한 협조를 통해 물과 도시라는 주제로 국제포럼을 개최, 달성군의 국제적 브랜드 향상에 기여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건축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건축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교통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통과장 박영기 교통과장 박영기입니다.
교통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67쪽입니다. 교통 불편 해소와 대중교통의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각종 민원 발생 시에 신속한 해결을 하였고, 시내버스에 대한 지도 단속을 강화하였습니다.
테크노폴리스 개발과 주거환경 변화에 따른 버스노선을 조정하여 8월 1일부터는 대곡역에서 테크노폴리스도로를 경유하는 급행버스 노선과, 대곡지구에서 다사 서재를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을 신설하는 등 대중교통 이용의 활성화를 기하였습니다.
268쪽입니다.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기하기 위하여 자전거단체보험을 대구에서 최초로 가입하였습니다. 우리 군에 주민등록을 한 사람에 대해서는 자전거 사고의 장소를 불문하고 보험금을 지급토록 하여 현재 2건의 사고에 140만 원의 보험금이 지급되었습니다.
원활한 교통체계 및 교통안전 구현을 위하여 경보신호기 2개소를 설치하였고, 교통시설물 설치 및 정비를 위한 연간 단가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다사읍 미주테크 앞에 1억 7,000만 원의 예산으로 회전교차로를 설치 완료하였으며, 다사 주공아파트 앞에도 회전교차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스쿨존과 실버존 개선을 위하여 9억 7,000만 원의 예산으로 각종 시설물과 CCTV를 설치 준비하고 있습니다.
270쪽입니다. 현풍지구 보행환경 개선사업은 7월 13일, 즉 오늘입니다. 오늘 한전 지중화사업을 위한 실제적인 착공을 시작합니다. 이 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고 예상되는 각종 민원사항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민간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위촉식을 가진 바 있습니다. 지중화공사 기간은 약 4개월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도시 활력 증진사업인 ‘하이파이브 현풍’ 사업은 현풍천변 도로 2㎞에 60억 원의 예산으로 실시하는 국토부 공모사업으로 현재 대구시의 일상감사 및 계약심사 중에 있으며, 금년 8월 중에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실시할 것입니다.
272쪽입니다. 교통질서 확립 및 주차환경 개선을 위하여 고정식 단속카메라를 4개소 설치하고 각종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정차 위반 차량에 대해서는 단속 중임을 경고하는 SMS 문자를 운전자 휴대폰에 발송하여 자발적인 차량 이동 및 민원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있습니다.
사업용 화물차의 유류보조금 지급에 있어서 부정 지급되지 않도록 홍보 및 계도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의무보험 미가입자에 대해서는 과태료 부과 및 고발조치, 번호판 영치를 하고 있습니다.
대포차 단속을 위하여 매월 1회 관련부서와 경찰과 합동으로 단속을 실시하고 있으며, 자동차 정기검사와 관련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사전 안내 및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교통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교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공원녹지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원녹지과장 박치용 공원녹지과장 박치용입니다.
공원녹지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279쪽입니다. 아름다운 녹지 조성 분야로, 가로변 및 조경지 수목 관리입니다. 예산은 8억 4,600만 원으로 수목 관리를 위하여 전정, 수목 시비, 관수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시설녹지 및 조경지 잔디 관리를 위하여 풀 깎기와 제초작업 등을 실시하고, 꽃길 및 초화원 조성사업과 조경시설물 정비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80쪽입니다. 아름다운 달성 만들기 사업으로 10억 원이 편성되었으며, 상반기에 6개 분야에 7억 1,000만 원을 집행하였습니다.
국도 5호선변 옹벽 녹화 및 난간걸이 화분 설치는 현재 추진 중에 있으며, 하빈면 기곡교 가로숲 조성 등 5개소는 완료하였습니다.
281쪽입니다. 가로수 및 녹지 조성사업으로 5건에 23억 5,000만 원입니다. 가로수 조성, 명품가로숲 조성사업은 완료하였으며, 설화리 마을숲 조성, 화원 본리리 친수공간 조성사업은 토지 보상협의 및 설계 중에 있으며, 복지시설 나눔숲 조성사업은 현재 공사 중에 있으며 10월에 완료할 예정입니다.
283쪽입니다. 산림자원화 기반 구축사업 추진현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총 13건에 63억 3,700만 원이 편성되어 있으며, 생활권 등산로 정비 및 조림사업 등 2건은 완료하였으나 길 조성 및 관련사업 5동과 자연휴양림 관련사업 3건, 참꽃군락지 생육환경 개선사업은 현재 추진 중에 있습니다.
284쪽입니다. 산림보호 대책 분야로 산불 예방 및 방지 추진입니다. 기간은 금년 1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며, 산불진화용 헬기 1대를 7억 원으로 임차 운영하였습니다.
285쪽입니다. 산림 보호사업 추진현황입니다. 보호사업은 4건으로 12억 4,800만 원이 되겠으며 산림 유전자원 보호림 정비사업과 보호수 외과수술 및 주변 정비사업은 완료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287쪽입니다. 쾌적한 공원·유원지 조성 관리사업으로 총 8건에 43억 2,400만 원입니다.
주요 조성사업으로 현풍 원교 어린이공원 조성사업, 가창 창산박실1 어린이공원 조성사업이 되겠으며, 시설정비 관리사업으로는 화원동산 운영관리 및 정비사업과 도시공원 잔디 관리사업, 공원 및 유원지 경관 개선사업, 공원·유원지 시설물 긴급보수 등이 되겠습니다.
이상 공원녹지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공원녹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정책사업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사업담당 곽윤환 정책사업담당 곽윤환입니다.
정책사업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91쪽, 달성을 빛낸 인물 흉상 제작, 설치 2차 사업입니다. 달성을 빛낸 인물 19인의 흉상을 달성종합스포츠파크 내 인물동산에 설치하겠습니다.
다음은 달성군지 발간입니다. 우리 군의 역사, 경제, 문화, 산업 등 전 분야에 걸쳐 급변하는 모습을 정리하여 금년 2월 말에 1,500부를 발간하여 배부하였습니다.
다음은 292쪽, 대견사 중창 1주년 기념, 일연과 비슬산 학술용역입니다. 일연과 비슬산의 관계를 사료적으로 고증하기 위해 학술지 500부를 발간하였습니다.
다음은 군 슬로건 문자조형물 설치사업 추진입니다. 대구의 뿌리 달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테크노폴리스 도로에 설치하겠습니다.
다음은 293쪽, 달성 인문학 강좌 개최입니다. 달성군지를 활용하여 군민들에게 인문학적 접근과 100년 달성의 의미를 재조명하기 위해 여성문화복지센터, 문화재단, 달성문화원 등 3개소에 강좌를 개최하겠습니다.
다음은 294쪽, 비슬산 관광명소화 사업입니다. 위치는 유가면 용리 산 1-2번지 일원입니다. 대견사 종각, 금강계단, 일주문 건립이며 금년 5월에 대구시 문화재위원회의 현상변경허가를 승인받았습니다.
다음은 비슬산자연휴양림 주차장 조성입니다. 위치는 유가면 용리 31-2 외 1필지이며 금년 1월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완료하고 2월에 주차장 및 건물 임대계약을 하였습니다.
다음은 296쪽, 대구교도소 이전입니다. 위치는 하빈면 감문2리 833번지 일원이며 건축물은 지하 1층~지상 5층의 14개 동입니다. 금년 10월에 착공하여 2017년 10월에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297쪽, 비슬산 관광객 수송시설인 전기 셔틀버스 추가 제작, 운행입니다. 지난 6월에 구매계약을 체결하였으며 8월에 차량을 납품받아 시설공단에 관리 이관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298쪽, 비슬산자연휴양림 오토캠핑장 조성입니다. 위치는 유가면 용리 산 15번지입니다. 시설규모는 캠핑장 48면, 편익시설, 기타시설이며 금년 12월에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300쪽, 인재 육성 달성장학재단 운영입니다. 기금 조성액은 75억 3,142만 원이며 지난 6월 26일 110명에게 2억 2,564만 7,000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지속적인 교육인프라 확충을 위해 학교 교육경비 10억 원, 인성교육 프로그램 지원비 3억 5,000만 원,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4,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301쪽입니다. 원어민 영어교실 운영비 6억 3,000만 원, 원어민 화상영어 학습센터 운영비 1억 2,500만 원, 학교 운동장 생활체육시설 조성사업비 4억 1,000만 원, 기숙형 고교 기숙사 운영 지원비 2억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302쪽입니다. 자율형 공립고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비 7,000만 원, 경일대학교 향토생활관 입사 지원비 3억 원, 방과 후 학교 운영 지원비 2억 4,5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정책사업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경제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과장 곽국일 경제과장 곽국일입니다.
201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07쪽입니다. 먼저 중소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입니다.
중소기업 육성으로 경영안정자금 270억 원을 지원하고 1사 1담당제도 운영하였습니다. 노사 안정 분위기 조성에 모범근로자 해외 산업연수와, 협력적 노사관계를 위한 근로자의 날 노사정 화합잔치도 열었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물가 안정 및 소비자 보호로, 소비자 가격 동향을 주 1회 모니터링하고 착한 가격 업소에 대해서 일제 정비를 실시하였습니다.
시장경제 활성화 제고를 위하여 전통시장 CCTV는 설치 중에 있으며, 전통시장 선진상인 육성으로 상인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310쪽입니다. 녹색 에너지 공급 및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석유 판매업소와 가스 공급시설을 점검하고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사업과 다사·하빈면 옥상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였습니다.
승강기 및 전기 안전검사를 실시하여 5개소 운행정지 명령과 48개소에 대해서 개선명령을 실시하였습니다.
312쪽입니다. 산업·연구단지 조성 및 투자 지원입니다.
대구국가산업단지 조성 지원으로 1단계 사업 공정률은 70%로 산업용지는 124개 업체에 분양되었으며, 2단계 사업은 금년에 보상조서를 작성하여 내년도에 보상 시작으로 착공 예정에 있습니다.
대구테크노폴리스는 2016년 6월 준공 예정으로 산업용지는 91개 업체에 분양되어 현재 52개 업체가 착공 중이고 39개 업체가 가동되고 있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과학기술 연구 지원으로 DGIST와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의 공동연구센터 설립 지원에 2억 원, 다음 쪽입니다. DGIST의 웰니스 휴먼케어 플랫폼 구축사업에 1억 5,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315쪽입니다. 일자리 창출 및 지역공동체 육성입니다.
저소득층 일자리 제공으로 공공근로사업과 지역공동체 일자리를 추진하였으며, 사회적경제 활성화사업 추진으로 마을기업 10개소를 지도 점검 실시하였으며, 다음 쪽입니다. 사회적 기업 육성으로 인력 지원에 2억 9,400만 원으로 지원하였습니다.
일자리 창출사업 추진으로 달성 일자리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에 있어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사업으로 국비 2억 8,000만 원을 확보하여 4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용부 사업으로 선정된 달성 고용복지 플러스센터 설치사업으로, 달성 1차산업단지 내 사무실을 임대하여 고용센터 등 5개 조직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10월경 개관 운영할 수 있도록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상으로 경제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경제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문화체육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체육과장 김외식 문화체육과장 김외식입니다.
321쪽입니다. 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달성문화재단과 달성문화센터에 운영비와 사업비를 지원하여 문화예술 역량 강화에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문화예술단체 육성으로 달성문화원과 이천농악 12차진굿, 설화 상여소리에 사업비와 운영비를 지원, 육성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군민과 함께하는 열린 문화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먼저 군민 행복콘서트를 대구시립교향악단을 초청, 공연을 가졌으며, 정월대보름 달맞이문화제와 제18회 비슬산 참꽃문화제도 내실 있게 추진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100년타워 준공 기념 음악회를 100년 달성 뿌리광장에서 개최하였으며, 군민의 마음에 다가가는 ‘참꽃 갤러리’도 6회에 걸쳐 전시회를 가졌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국비 공모사업으로 추진 중인 서재 행복 생활문화센터 조성사업은 구 서재보건진료소를 리모델링하여 서재 주민들에게 다양한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달성군수기 생활체육대회를 축구 등 20개 종목을 각 연합회별로 개최하였으며, 또한 제11회 비슬산 참꽃 족구대회와 2015 축구 스토브리그도 달성종합스포츠파크 주경기장에서 개최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다음은 전문체육 육성을 위한 실업팀 운영으로 실업정구부와 장애인 휠체어 테니스단을 내실 있게 운영하였으며 국제대회와 전국대회에 참가하여 우승하는 등 군의 위상을 드높여 왔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건전한 청소년 육성을 위한 스포츠생활 지원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유·청소년 144명을 선정하여 스포츠강좌 수강료를 지원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옥포 강변축구장 조성사업은 지난해 10월 착공하여 금년 4월 준공하였으며, 가창 용계 배드민턴 개보수 사업은 지난해 12월 착공하여 금년 5월 준공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달성 군민체육관 증ㆍ개축 사업은 국제현상설계 공모를 통해 계약을 추진하고 있으나 다소 지연되고 있습니다.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마지막으로 논공읍 남리 일원에 추진 중인 달성 강변 골프장 조성사업은 국가하천 관리 기본계획 지구 지정이 결정되면 즉시 추진할 수 있도록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문화체육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문화체육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관광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광과장 표준식 관광과장 표준식입니다.
관광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관광달성 이미지 제고입니다.
관광지 시설 및 관광안내판을 유지 보수하고 관광지 홍보를 위한 문화예술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다음으로 관광기념품을 제작 홍보하고 관광기념품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관광달성 이미지 제고를 위한 관광사업체 관리입니다. 유원시설업 2개소, 여행업 12개소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관광마케팅 기반 강화를 위해 할인쿠폰 제작, 달성군 길라잡이 운영, 관광지 홍보물 및 시설물 설치를 추진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국내외 관광객 유치 강화입니다. 관광박람회 홍보관 운영, 한방 휴 사업 추진, 신의 물방울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16일, 17일 제1회 달성 토마토축제 'RED'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달성군의 브랜드 가치를 높였고, 관내 농가에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달성 토마토 인지도를 상승시켰습니다.
다음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지 개발입니다.
비슬산권 관광개발사업 추진, 낙동강 레포츠밸리 조성사업 추진, 사문진 역사공원 홍보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낙동강 수상교통사업 추진, 구지 오토캠핑장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지속적인 문화재 보존 및 관리입니다.
국가지정문화재, 대구광역시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도동서원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예비실사 2회를 거쳐 올 9월 유네스코 현지실사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준비에 차질 없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적의 지속을 위한 보수·정비입니다. 국가지정 문화재, 시지정문화재, 향토문화재, 전통사찰을 보수·정비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관광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보건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과장 서정대 보건과장 서정대입니다.
보건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343페이지,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입니다.
‘건강한 혈관, 행복한 달성’ 사업으로 건강한 혈관을 위한 환경 조성을 위해 찾아가는 주민 건강지킴이 홍보부스를 운영하였으며, 고위험군 조기발견을 위해 1만 500명을 등록, 관리하였습니다.
또한 건강플러스 교육 프로그램으로 푸른기둥 건강지킴이, 건강으뜸! 경로당 만들기, 다음 344페이지, 건강지도자 역량 강화 교육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함께 만들어 가는 건강달성!’ 사업으로 유아 몸 튼튼 키 쑥쑥, 건강디딤돌 교실 등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금연사업으로 흡연자 1,751명을 금연클리닉에 등록, 관리하고 있으며, 직장·산업체 이동 금연클리닉 12개소를 운영하였고, 다음 345페이지, 공중이용시설 944개소를 지도 점검하여 과태료 13건을 부과하였습니다.
이밖에 죽곡 휴먼시아 1단지 아파트를 건강드림아파트로 선정하여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건강강좌 및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주민 스스로가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건강 생활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다음 346페이지, ‘건강맘 예쁜아기’ 사업으로 철분제, 엽산제, 영유아 영양제를 지원하였습니다.
347페이지, 취약계층 의료비 지원입니다.
국가 암관리 사업으로 암 조기발견을 위해 5,072명에 대한 암검진 실시와 암환자 146명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348페이지입니다. 모자보건 사업으로 영유아 건강 증진을 위해 국가필수 예방접종을 4,545명 실시하였으며, 출산 장려정책 지원으로 출산장려금과 축하금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349페이지, 감염병 예방활동 강화입니다.
지역 내 메르스 유입 차단을 위해 방역대책본부를 구성, 운영하여 24시간 상황근무를 하였으며, 의심환자 및 접촉자 관리를 강화하고 예방 홍보활동도 강화하는 등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 350페이지입니다. 끝으로 진료서비스 접근성 제고 및 의약업소 관리입니다.
일반 외과진료, 각종 검사 등 진료사업을 통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또한 병·의원, 약국 258개소를 지도 점검하여 건전의료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보건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강증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강증진과장 이재석 건강증진과장 이재석입니다.
353쪽입니다. 지역보건 서비스 강화를 위하여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 취학 전 어린이 양치교실 운영과, 초등학교 학생 구강질환 예방진료 등 어린이 충치예방사업 및 초등학교 구강보건실 운영, 65세 이상 지역주민 취약계층 등에 대한 구강 무료 예방진료와, 6,389명에 대한 불소용액 양치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쪽, 노인 의치보철 시술비 지원사업과 다문화 가족 및 장애인 치아 돌보미사업의 추진과 더불어 주민 5,057명에게 일반, 한방, 구강질환 진료 및 건강상담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쪽, 예방 중심의 맞춤형 건강관리를 위해 건강관리실과 체력진단실 운영으로 주민 2,316명에게 통합 건강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대사증후군 검진 및 대상자 등록 관리, 고위험군 건강관리 심화교실 운영 등 대사증후군 예방관리사업을 추진하였고, 356쪽, 몸매 관리교실, 관절 튼튼 운동교실, 가족 건강지킴이 교실 등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 및 어린이 영양교실, 운동교실, 건강교실 등 건강 첫출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다음 쪽, 행복한 노년을 위한 보건서비스 제공으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독거노인, 노약자 등 의료 및 건강 취약계층 4천여 명에 대한 방문 건강관리와 교육, 그리고 대구 한의대학교 등 7개 유관기관과의 협약 및 협업을 통한 연계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치매 조기검진 사업으로 주민 3,678명에게 무료 치매 선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과 다음 쪽, 인지재활프로그램, 가족지지프로그램 및 카페 운영, 대군민 건강강좌와 캠페인 등의 치매 예방 및 관리를 도모하였으며, 치매 상담센터를 운영 3,681명을 상담하였고, 치매 등록환자 1,026명에 대한 지원과 치료 등 치매 관리사업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경로당 33개소에서 만 65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울림 백세운동 운영과 더불어 다음 쪽, 대경대학교와 연계하여 마사지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하반기에 확대 추진할 계획입니다.
달성군 정신건강증진센터 위탁운영과 달성군 통합정신·치매센터 운영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3개소의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운영 지원과 더불어 정신질환자 입·퇴원을 심사하는 정신보건심판위원회 운영으로 군민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건강증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농촌지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촌지도과장 김수용 농촌지도과장 김수용입니다.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63쪽입니다. 식량작물 생산 기반 조성사업으로 벼 육묘용 상토는 대상면적 2,740㏊ 전 농지에 공급하였고, 찹쌀 재배단지 육성사업 등 4개 사업은 추진 중에 있으며 11월 중에 완료하겠습니다.
364쪽입니다. 원예작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친환경 농산물 생산과 농작업의 생력화 등 15개 사업 중 4개 사업은 이미 완료되었고 그 외 사업은 하우스 작물의 특수성 때문에 12월 중에 마무리하겠습니다.
다음은 과수원 생력화 사업을 비롯하여 관수시설, 다겹차광망, 우산식 지주 사업과 석회황합제 사업도 완료하였습니다.
꽃 육묘장 운영은 봄꽃과 여름꽃 21만 본을 생산하여 적기적소에 배부하였습니다.
366쪽입니다. 새해 농업인 실용교육과 품목별 전문교육도 완료하였으며, 영농 시기별 교육은 품목별로 수시로 실시하겠습니다.
강소농 심화교육과 농업인 해외연수는 메르스로 인하여 일정을 연기하였으나 9월 중에 재실시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농촌 생활자원 발굴사업으로 도시농업 네트워크 구축은 이미 완료되었고 도시농업 아카데미 교육은 과정별로 40% 정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농촌 건강 장수마을로 선정된 약산마을은 11월 중에 완료하겠습니다.
368쪽, 농업인 조직체 육성은 농촌지도자회, 농업경영인회를 비롯한 4개 단체 2,000명에 대하여 유형별 농업기술 정보 제공과 학습활동 지원을 계속하겠습니다.
끝으로 임대용 농기계는 62종 308대를 확보하고 있으며 신규로 41대를 추가 구입하였습니다.
또한 농기계 임대사업을 이용하는 농업인이 매년 2·30% 늘고 있으며, 사업장마다 기계를 반납하는 농업인에게 세척에 따른 편의를 제공하고자 고압분무기를 배치하였습니다. 앞으로 농촌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이상 농촌지도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농촌지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이틀간에 걸쳐 2015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모두 보고받았습니다. 보고하신 실·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그럼 이것으로 오늘 회의는 모두 마치겠으며 내일 오전 10시에 소회의실에서 제3차 본회의를 열어 상정된 안건에 대하여 자체심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1시03분 산회)
○출석의원(8인) |
채명지하중환하용하구자학 |
김상영김성택엄윤탁신영희 |
○출석공무원 | |
군수 | 김문오 |
부군수 | 최삼룡 |
자치행정국장 | 김재환 |
주민복지국장 | 전종율 |
건설도시국장 | 남정호 |
정책사업단장 | 최상진 |
보건소장 | 박미영 |
농업기술센터소장 | 구본은 |
기획감사실장 | 오대진 |
법무규제개혁실장 | 류준영 |
자치행정과장 | 백진흠 |
세무과장 | 이상호 |
징수과장 | 정정희 |
회계과장 | 김대환 |
종합민원과장 | 김종호 |
토지정보과장 | 최흥섭 |
정보통신과장 | 서점태 |
주민지원과장 | 신후남 |
사회복지과장 | 김복수 |
희망지원과장 | 황애숙 |
농업정책과장 | 조현구 |
환경과장 | 송종구 |
청소위생과장 | 채후식 |
건설과장 | 이정균 |
도시과장 | 현병철 |
안전방재과장 | 이강술 |
건축과장 | 박병국 |
교통과장 | 박영기 |
공원녹지과장 | 박치용 |
경제과장 | 곽국일 |
문화체육과장 | 김외식 |
관광과장 | 표준식 |
보건과장 | 서정대 |
건강증진과장 | 이재석 |
농촌지도과장 | 김수용 |
○의회사무과 참석자 | |
사무과장 | 이태우 |
전문위원 | 김정화 |
의사담당 | 김태경 |
지방행정주사보 | 이미경 |
지방속기주사보 | 배진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