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9회 달성군의회(제2차 정례회)
달성군의회사무과
2015년 11월 18일(수) 10시
의사일정(제3차 본회의)
1. 201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보고 청취의 건
부의된 안건
1. 201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보고 청취의 건(군수제출)
(10시00분 개의)
○의장 채명지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제239회 달성군의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를 개의합니다.
1. 201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보고 청취의 건(군수제출)
○의장 채명지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1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보고 청취의 건을 상정합니다.
제1차 및 제2차 본회의에 이어 오늘 계획된 부서의 201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받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이정균 건설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설과장 이정균 건설과장 이정균입니다.
건설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181쪽, 체계적인 건설행정 관리 중 전문건설업 관리 강화로 관내 등록된 전문건설업 333개 업체 중 84개 업체를 신고 수리하였습니다.
또한 국유재산, 시유재산, 공유재산 등 총 3만 3,382필지를 실태조사 하여 국·공유재산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182쪽입니다. 건설사업 추진입니다.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해 220건에 1,288억 9,000만 원을 투입하여 도로망 확충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시계획도로는 167건에 954억 5,400만 원, 이 중 계속사업이 104건, 신규사업이 63건, 그리고 군도 및 기타 도로는 53건에 334억 3,600만 원입니다.
다음 184쪽, 도로시설물 관리입니다.
도로시설물의 유지 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45억 6,800만 원으로 아스팔트도로 포장 보수를, 그리고 7억 원으로 도로시설물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관내 20m 미만 도로에 대해 영조물 배상공제에 가입하여 도로시설물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186쪽부터는 도로건설 사업으로 국가사업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도 5호선 확장공사로 총 1,351억 원이 투입되어 현재 91%의 공정으로 금년 말 준공 예정입니다.
대구국가산업단지 진입도로는 2.5㎞로 현재 보상협의 중이며 2018년 11월 준공 예정입니다.
성주대교 개축공사는 금년 7월 착공하여 2019년 6월 준공 예정입니다.
187쪽, 한국도로공사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대구 순환고속도로 성서~지천은 현재 보상협의 중으로 5,242억 원을 투입하여 2019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또한 중부내륙고속도로 창녕~현풍 확장공사는 2016년 착공 예정입니다.
188쪽, 대구광역시 사업으로는 국가과학산업단지 서편도로는 총 4,150m로 현재 시공 중이며 2018년 12월 준공 예정이며, 김흥교차로~달성 1차산업단지 간 도로는 보상협의 중으로 90억 원을 투입하여 2016년 말 준공되겠습니다.
그리고 성서 5차~세천 구획정리지구 간 도로는 2017년 말 준공 예정이며, 현풍천변 도시계획도로 개설사업은 335m로 2018년 말 준공되겠습니다.
하빈 동곡~감문 간 도로 건설은 현재 폭 10m를 20m로 확장하는 공사로 145억 원을 투입하여 2018년 말 준공 예정입니다.
190쪽부터 207쪽까지는 우리 군에서 시행하는 도로사업으로써 읍면별 사업대상은 전체 220건 중에 화원 27건, 논공 21건, 다사 22건, 가창 31건, 하빈 23건, 옥포 33건, 현풍 28건, 유가·구지 각각 14건이며 관내 공통 7건입니다. 세부내용은 유인물과 같습니다.
이상으로 건설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건설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현병철 도시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과장 현병철 도시과장 현병철입니다.
도시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211쪽입니다. 개발제한구역 주민 지원사업 추진입니다. 생활 편익사업 7건, 환경문화사업 2건 등 총 9건 중 준공 5건, 시행 중 4건이며 개발제한구역 주민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212쪽, 개발제한구역 복지증진 사업으로 생활비용 보조사업은 저소득가구 41세대에 60만 원씩 지급하였고, 213쪽, 달성군 도시계획위원회는 3회 개최하였고 개발행위 분과위원회를 7회 개최하여 17건의 안건을 처리하였습니다.
215쪽, 도시관리계획 수립 용역 추진으로, 급변하는 지역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기반시설 정비, 도시관리계획 변경, 민원사항 및 불합리한 시설 재검토 등 용역 시행 중이며 내년 10월까지 완료할 예정입니다.
216쪽, 논공 상·하리 지구단위 계획은 군 도시계획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대구시에 결정 신청을 하였습니다.
217쪽, 토지구획 정리사업은 옥포 본리지구와 논공 금포지구는 사업이 마무리단계이고 논공 남리와 현풍 부리지구는 내년 5월까지 사업 인가 신청이 없을 경우에 대구시에서 지구 지정을 해제할 예정입니다.
219쪽입니다. 하수시설 확충 정비사업으로 다사지역 하수관거 정비는 공정률 87%로 정상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 5월 준공 예정입니다.
220쪽입니다. 옥포지역 오수관거 설치사업은 총 사업비 189억여 원 전부 국·시비 보조사업으로 금년 8월 공사를 착공하였고, 다사 세천리 하수관거 정비사업도 시비 25억 원으로 공정률 25%로 2017년 6월 준공 예정입니다.
221쪽입니다. 현풍 하수처리구역 오수관로 설계용역은 현풍, 유가, 구지면 일원 우·오수 분류화를 위하여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2016년 3월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공사를 시행코자 합니다.
다음 222쪽입니다.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설치사업은 총 9건 중 사업 완료가 7건, 2건은 추진 중입니다.
223쪽에 수리시설물 관리대상은 저수지 양·배수장 등 271개소로써 연중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보수가 필요한 저수지 5개소 중 3개소는 정비하였고 2개소는 정비 중에 있습니다.
224쪽입니다. 농업생산 기반시설 사업은 자체사업 84건, 보조사업 27건 등 총 111건으로 45건은 준공하였고 66건은 추진 중에 있으며, 농로 용·배수로 등 농업기반시설 구축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이하 세부 사업조서는 서면으로 갈음하겠으며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도시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안전방재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전기획담당 김종훈 안전방재과 안전기획담당 김종훈입니다.
안전방재과장의 국외 출장으로 인해 대신 보고드리겠습니다.
235쪽입니다. 재난 대응능력 및 시설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금년 5월에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부서에 배부하였고, 국가재난 대응 안전한국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매월 안전점검의 날 행사를 화원삼거리 등 12개소에서 실시하였습니다.
236쪽입니다. 비슬산 참꽃 문화제 외 7개 축제에 대하여 행사 전 유관기관 합동으로 점검을 실시하고 안전관리 자문단을 운영하여 안전 대진단 점검 등을 실시하였습니다.
우수기 대비 공공시설물 195개소, 특정관리 대상 214개소, 시특법 대상 354개소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238쪽입니다. 생활안전 CCTV 관제센터 구축사업은 건축 및 관제시스템 설계용역 중에 있습니다. 차질 없이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239쪽입니다. 안전문화 활성화 및 재난 안전 상황관리입니다. 24시간 상황관리 단계별 근무체계 확립으로 재난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으며, 안전문화운동 추진을 위한 단체 지원 및 육성에도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240쪽입니다. 10월 현재 재난관리기금 적립 현황은 52억 1,100만 원으로 기금 운용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241쪽입니다. 자연재난 대비 사전 예방활동 강화입니다. 재난 대비 근무 단계별 비상근무 실시로 재난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242쪽입니다. 무더위 쉼터 정비, 자연재난 대비 사전 점검, 급경사지 안전 대진단 등 재난 예방활동으로 주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45쪽입니다. 하천 및 재해 예방사업 추진입니다. 총 52건에 사업비가 390억 6,500만 원이며, 이 중 국·시비 보조사업이 14건에 280억 4,100만 원이고 자체사업이 38건에 110억 2,400만 원입니다. 진도는 준공이 19건, 공사 중이 21건, 보상협의 및 실시설계 중이 12건입니다. 추진 중인 공사가 조속히 완료되도록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250쪽입니다. 천내천 고향의 강 정비공사는 10월 현재 공정 13%, 진천천 유지수 확보공사는 공정 25%입니다. 현풍천 재해예방사업은 실시설계 용역 중이며, 다사 서재 재해위험지구 배수장 설치공사는 배수장 터파기 및 우수박스 시공 중에 있습니다. 공기 내 준공을 하여 재해 대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253쪽입니다. 낙동강변 국가하천 지구 변경 추진입니다. 금년 3월 우리 군 최종 의견이 반영된 국토부안이 수립된 상태로 주민 의견수렴 등의 국토부 행정절차가 완료되는 2016년 하반기에 지정 고시될 예정입니다.
254쪽입니다. 쾌적한 수변환경을 위한 하천 관리 강화입니다. 하천 국·공유재산 현황은 국유재산 2,447필지, 공유재산 2,091필지입니다. 10월 현재 국가하천 24건, 지방하천 8건의 점용허가를 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안전기획담당,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축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축과장 박병국 건축과장 박병국입니다.
건축과 소관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257쪽입니다. 건전한 건축행정 정착입니다.
2015년도 항측 무허가 건축물 정비대상 258건 중 135건은 시정 완료하고 123건은 시정 촉구 중, 일정별로 조치 중에 있으며, 건축사 대행업무 사용승인 건축물 및 부설주차장 점검 대상 341건 중 223건을 적발하여 그 중 20건은 시정 완료하였으며 3건은 관련 법에 따라 조치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58쪽입니다. 건축행정 건실화 추진과 관련하여 대구시에서 오는 11월 19일 점검 예정으로 점검 준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259쪽입니다. 쾌적한 주거환경 개선입니다.
공동주택 관리비용 지원을 위해 대곡역 래미안 등 13개 단지 7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농촌주택 개량사업을 위해 11동에 대해 융자 지원을 알선했고, 농촌 빈집 정비사업 15동 중 11동은 사업 완료하였으며 4동은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262쪽입니다. 공공건축물 견실 시공입니다.
하반기 총 8건의 공사 중 도야실버 희망마을 조성공사는 완료하였으며, 달성군민체육관 건립공사 등 7건은 설계용역 등 공정별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264쪽입니다. 맞춤형 주거복지의 현실화입니다.
주거급여 지급, 수선유지급여 지급, 사업비 지원을 통해 저소득층의 주거환경 쾌적화를 이루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265쪽입니다. 아름다운 도시미관 조성입니다.
달성군 가로경관 개선 상징 조형물 제작 및 설치사업은 12월 말 준공을 목표로 현재 조형물을 제작 중에 있으며, 화원동산 가로 및 진출입로 경관 개선사업을 위한 스토리벽화 제작과 경관조명등 사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다음은 266쪽입니다. 현풍 중앙로 간판 정비 1차사업은 3억 원의 예산으로 95개소 점포에 대한 간판을 정비하고자 하는 것으로 내년 5월에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건축과 소관을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건축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교통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통과장 박영기 교통과장 박영기입니다.
교통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69쪽입니다. 대중교통체계 확립을 위하여 금년 8월부터 시내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 운행 중입니다. 버스노선 개편 이후 주민들의 불편사항은 지속적으로 대구시와 협의해서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70쪽입니다. 대구에서 최초로 가입한 자전거보험은 11월 말 현재 55건에 5,340만 원의 보험금이 지급되었습니다. 특이할 점은 보험 적용 첫날에 사망사고가 발생하여 2,500만 원의 사망보험금이 지급되기도 했습니다.
선진 교통문화 정착을 위하여 교통질서 캠페인과 승용차 요일제를 확대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원활한 교통체계 및 교통안전 구현을 위하여 7억 1,800만 원의 예산으로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및 정비를 하였고, 회전교차로 설치 및 어린이와 노인 보호구역에 14억 6,400만 원의 예산으로 개선을 실시하였습니다.
272쪽입니다. 현풍지구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하여 주민설명회 개최, 추진협의회 구성 및 선진지 벤치마킹을 거쳐서 금년 8월 달에 공사를 착공하여 현재 계속 진행 중에 있습니다.
도시 활력 증진사업인 ‘하이파이브 현풍’ 사업은 60억 원의 예산으로 2018년까지 하는 사업으로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공고 중에 있습니다.
다음, 교통질서 확립 및 주차환경 개선을 위하여 무단 방치차량을 신속히 처리하였으며, 불법주차 단속을 위하여 단속카메라를 3개소에 설치하는 등 주민 홍보도 강화하였습니다.
주정차 위반차량에 대해서는 단속 중임을 알리는 문자알리미 서비스를 실시하여 현재 1만 2,300여 명이 가입되었습니다.
276쪽입니다. 효율적인 자동차 관리를 위하여 사업용 화물자동차에 대하여 유류보조금을 지급하였으며, 자동차 관리업체의 지도 단속과 불법 구조 변경에 대한 지도 단속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포차 단속을 위해 매월 1회 합동단속을 실시하고 있으며, 자동차 검사를 지연시키지 않도록 사전 안내 서비스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교통과 업무실적을 보고드렸습니다.
○의장 채명지 교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공원녹지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원녹지과장 박치용 공원녹지과장 박치용입니다.
금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81쪽입니다. 아름다운 녹지 조성 분야로, 가로변 및 조경지 수목 관리입니다. 사업비 8억 4,600만 원으로 수목 관리, 시설녹지 및 조경지 잔디 관리와 꽃길 초화원 조성사업, 조경시설물 정비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82쪽입니다. 아름다운 달성 만들기 사업으로, 7개 주요사업에 10억 8,100만 원이 투입되었으며, 다사읍 문산리 외 2개소 녹지공간 조성공사 외 4건은 사업을 완료하였습니다.
구지 도동리 자전거도로변 왕벚나무 식재공사와 소규모 녹지 조성사업 19개소는 완료하였으며 2개소는 현재 추진 중에 있습니다.
283쪽입니다. 가로수 및 녹지 조성사업으로 6건에 28억 9,000만 원입니다. 국도 5호선 가로수 조성사업과 명품가로숲 조성사업은 완료하였으며, 추기 가로수 식재사업 외 3개소는 현재 추진 중에 있습니다.
285쪽입니다. 산림 자원화 기반 구축사업 추진 현황입니다. 총 11건에 61억 6,900만 원이 편성되었으며, 생활권 등산로 정비공사와 서편 옥연지 송해공원 둘레길 조성은 완료하였으며, 나머지 길 조성 관련사업 4건과 자연휴양림 관련사업 3건, 실시설계 용역 2건은 현재 추진 중에 있습니다.
286쪽입니다. 산림 보호대책 분야로 산불예방 추진입니다. 기간은 금년 1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며 산불 진화용 헬기 1대 7억 원으로 임차 운영하고 있습니다.
287쪽입니다. 산림 보호사업 추진현황입니다. 주요 사업으로 7건에 15억 6,300만 원이 되겠으며, 보호수 외과수술 및 주변정비사업 외 4건은 11월 중에 완료 예정이며, 숲 가꾸기사업 360㏊는 12월 중에 완료할 예정입니다.
288쪽입니다. 쾌적한 공원·유원지 조성 관리 분야로, 옥연지 송해공원 조성사업은 주차장 기반 조성 및 주변경관 식재, 환경정비 등 현재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89쪽입니다. 공원·유원지 조성 관리사업 추진현황으로, 7건에 49억 5,600만 원입니다. 주요 사업으로 가창 창산박실1 어린이공원 조성사업 외 3건은 완료하였으며, 현풍 원교 어린이공원 외 2건은 현재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상 공원녹지과 소관 주요업무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공원녹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정책사업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사업과장 방호현 정책사업과장 방호현입니다.
정책사업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293쪽입니다. 먼저 달성을 빛낸 인물 흉상 제작, 설치 2차사업 추진으로, 인물 19인 흉상을 제작, 설치 마무리하였습니다.
달성군지 발간은 지난 2월에 발간, 배부 완료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100년 타워’는 18억 원의 예산으로 지난 4월에 준공하였습니다. 테크노폴리스 진입도로 슬로건 조형물 설치사업은 1억 원의 예산으로 2개소에 대하여 12월에 완공할 예정입니다.
다음 296쪽입니다. 비슬산 관광명소화 사업은 6억 원의 예산으로 대견사 금강계단 공사를 2016년 7월에 준공 예정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비슬산 연수원 건립은 156억 2,000만 원의 예산으로 내년 5월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하여 2017년 11월에 준공할 예정입니다.
화원읍사무소 개발은 민관합동 개발 등 다양한 방법을 놓고 검토하고 있습니다.
다음 298쪽입니다. 대구교도소 이전은 법무부에서 추가예산 445억 원을 증액 요청한 상태로 기획재정부와 업무협의가 마무리되면 2016년 상반기 중에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찰특공대 이전은 대구지방경찰청에서 관련 절차를 이행해 오면 부지 교환 이행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비슬산 자연휴양림 오토캠핑장 조성은 현재 공사가 원활히 진행되고 있으며 내년 3월에 준공할 예정입니다.
다음 300쪽입니다. 관광단지 조성은 민간 투자자와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인재 육성 재단법인 달성장학재단 운영으로 6월에 110명의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301쪽에서 304쪽이 되겠습니다. 지속적인 교육인프라 확충을 위해 교육기관에 대한 보조사업으로 학교 교육경비 지원 등 20개 분야에 58억 원을 지원하여 인재 양성과 교육 경쟁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정책사업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정책사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경제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과장 곽국일 경제과장 곽국일입니다.
201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07쪽입니다. 먼저 중소기업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입니다.
중소기업 육성으로 경영 안정자금 427억 원 지원과, 1사 1담당제 운영, 그리고 무역사절단을 파견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노사안정 분위기 조성에 모범근로자 국내외 산업연수와 협력적 노사관계를 위한 근로자의 날 노사정 화합잔치, 그리고 근로자 체육대회를 개최하였습니다.
309쪽입니다. 물가 안정 및 소비자 보호로 소비자 가격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착한 가격업소에 대해서 일제정비를 실시했습니다.
310쪽입니다. 시장경제 활성화 제고를 위하여 전통시장에 CCTV를 설치하고 선진상인 육성으로 상인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녹색 에너지 공급 및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석유 판매업소와 가스 공급시설을 점검하고, 서민층 가스시설 개선사업을 완료하였습니다.
312쪽입니다. 승강기 및 전기설비 안전점검과 저소득층 에너지연료 지원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314쪽입니다. 산업·연구단지 조성 및 투자 지원입니다.
대구국가산업단지 조성 지원으로 1단계 사업 공정률은 73%로 산업용지는 134개 업체에 분양되었습니다. 2단계 사업은 보상을 위한 토지 현황 및 지장물 조사 중에 있습니다. 대구테크노폴리스는 현재 92% 공정으로 내년 6월 달에 준공 예정입니다.
315쪽입니다. 과학기술 연구 지원으로 DGIST와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의 공동연구센터 설립 지원에 2억 원, DGIST의 웰니스 휴먼케어 플랫폼 구축사업에 1억 5,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316쪽입니다. 일자리 창출 및 지역공동체 육성입니다.
저소득층 일자리 제공으로 공공근로사업과 지역공동체 일자리를 추진하였으며, 사회적 경제 활성화 사업 추진으로 마을기업 10개소를 지도 점검 실시하였으며, 다음 쪽입니다. 사회적 기업 육성으로 5억 4,2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에 있어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사업으로 4개 사업을 마무리 중에 있습니다.
318쪽입니다. 고용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일자리와 복지 지원업무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달성 고용복지 플러스센터 설치사업은 달성 1차 산업단지 내 사무실을 마련해서 지난 11일 업무를 개시하였습니다. 개소식은 12월 1일 예정되었습니다.
이상으로 경제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경제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김외식 문화체육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체육과장 김외식 문화체육과장 김외식입니다.
문화체육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321쪽입니다. 먼저 문화예술 진흥 및 문화행사 개최로 달성문화재단과 달성문화센터에 운영비와 사업비를 지원, 문화예술 역량 강화에 최선을 다했으며, 달성문화원과 하빈 들소리, 이천농악 등 민속예술단체 지원 요청에도 최선을 다했습니다.
322쪽입니다. 군민과 함께하는 열린 문화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먼저 정월대보름 달맞이 문화제를 달성보에서, 제18회 비슬산 참꽃문화제를 비슬산 자연휴양림 일원에서 개최하였으며, 323쪽입니다. 달성음악회를 강창교 둔치와 화원동산, 군민운동장에서, 강정 대구현대미술제를 강정보 디아크 광장에서 개최하였습니다.
324쪽입니다. 또한 100대 피아노 콘서트를 사문진 나루터에서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와 소리꾼 장사익 등 유명인사를 초청, 성황리에 개최하였습니다.
군민의 마음에 다가가는 ‘참꽃갤러리’ 운영을 군청사 2층 참꽃갤러리에서 10회 전시회를 가졌습니다.
325쪽입니다. 생활문화공간 조성사업 추진입니다. 국비 공모사업으로 추진 중인 서재 행복 생활문화센터 조성사업은 현재 시설 리모델링에 따른 실시설계 용역 중에 있으며 내년 4월 개업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326쪽입니다. 군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체육 진흥사업입니다.
군민과 함께하는 체육대회로 달성군수기 생활체육대회와 제17회 달성군민체육대회를 달성 종합스포츠파크에서 성황리에 개최하였습니다.
327쪽입니다. 건전한 여가문화를 위한 생활체육 육성으로 계층별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추진과, 군 생활체육회 운영 및 지도에 최선을 다했습니다.
전문체육 육성을 위한 실업팀 운영으로 실업정구부와 장애인 휠체어테니스단을 내실 있게 운영하였습니다.
328쪽입니다. 건전한 청소년 육성을 위한 스포츠생활 지원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중 유·청소년 144명에게 스포츠 이용권 지원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329쪽입니다. 건강 100세를 위한 공공체육시설 확충사업으로, 옥포면 강변축구장 조성사업은 금년 4월 준공하였으며, 가창 용계 배드민턴장 개보수 사업도 금년 5월 준공 완료하였습니다.
330쪽입니다. 달성 군민체육관 신축사업은 현재 실시설계 중으로 2017년 7월 준공 목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331쪽입니다. 마지막으로 달성 강변 파크 골프장 조성사업은 현재 국토부와 국가하천 지구 지정이 지연되고 있어 향후 지구 지정이 확정되면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문화체육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문화체육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관광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광과장 표준식 관광과장 표준식입니다.
관광과 소관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335페이지입니다. 관광달성 이미지 제고입니다. 관광달성 기반 강화를 위해 관광지 시설 및 관광안내 표지판 유지 보수, 관광지 홍보 문화예술행사 개최, 달성 12경 선정 및 홍보를 추진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관광기념품을 활용한 관광달성 홍보입니다. 관광기념품 제작 및 홍보, 관광기념품 공모전을 시행했습니다.
다음으로 관광달성 이미지 제고를 위한 관광사업체 관리입니다. 야영장업, 유원시설업, 여행업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문화·역사가 살아 숨 쉬는 관광달성 마케팅 강화입니다. 달성여행 책자 제작, 달성관광 입체지도 제작, 달성 길라잡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국내외 관광객 유치 강화입니다. 관광달성 마케팅을 적극 추진하고 생활협력권 사업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지 개발입니다. 비슬산권 관광개발사업 추진, 낙동강 레포츠밸리 조성사업 추진, 사문진 역사공원 홍보, 다음 페이지입니다. 낙동강 수상교통사업 추진, 구지 오토캠핑장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지속적인 문화재 보존 및 관리입니다. 문화재 지정 추진, 문화재 경상관리를 추진하고 있으며, 다음 페이지입니다. 문화유적의 지속을 위한 보수 정비를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관광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보건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과장 박성우 보건과장 박성우입니다.
보건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45페이지입니다. 지역사회 통합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입니다.
‘건강한 혈관, 행복한 달성’ 사업으로 심뇌혈관 질환 고위험군 조기 발견을 위해 1만 9,420명을 등록 관리하였습니다.
건강플러스 교육 프로그램으로 푸른기둥 건강지킴이, 건강으뜸 경로당 만들기, 윈윈 건강교실, 건강생활 가꾸기 교실, 취약계층 건강지킴이, 건강지도자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건강달성’ 사업으로 유치원,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유아 몸 튼튼 키 쑥쑥 교육, 청소년 보육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건강지킴이 교육, 청소년 성장바름이, 건강 디딤돌 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금연사업으로 흡연자 2,114명을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산업체 13개소에 이동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공중이용시설 2,467개소에 대해 금연 관련법 이행 여부를 지도 점검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으로 장애인복지관 한의약 관리교실을 12회 운영하였으며, 죽곡 휴먼시아 1단지 아파트를 건강 드림아파트로 선정하여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주민 스스로가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건강 강좌 개최,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건강 맘 예쁜 아기’ 사업으로 철분제, 엽산제, 영유아 영양제를 지원하고, 출산 준비교실을 26회 실시하였으며 영양플러스 사업으로 임산부·영유아 1,642명에게 영양 보충식품을 지원하였습니다.
349페이지입니다. 취약계층 의료비 지원입니다.
국가 암 관리 사업으로 암 조기 발견을 위해 8,935명에게 암 검진을 실시하였고, 암 환자 197명에게 2억 3,000만 원의 의료비를 지원하였습니다.
의료급여 수급권자 602명에게 건강검진을 실시하였으며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으로 만성신부전증 등 질환자 132명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350페이지, 저출산 극복과 모자 건강관리 지원입니다.
모자 보건사업으로 영유아 건강 증진을 위해 선천성 대사이상검사 1,547명, 국가 필수예방접종 4,803명에게 실시하였으며 출산 장려정책으로 난임부부 지원 408명,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430명, 출산 장려금 1만 8,099명에게 지급하였습니다.
351페이지, 감염병 예방활동 강화입니다.
취약지 친환경 방역 소독을 권역별 주 1회 실시하였으며,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연중 기동감시반을 운영하고 감염병 의심환자 및 접촉자 관리를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질병정보 모니터 94개소 운영, 결핵환자 관리를 위해 결핵검진을 5,695건 실시하였으며, 고위험군 600명을 대상으로 이동 결핵검진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끝으로 352페이지, 진료서비스 접근성 제고 및 의·약업소 관리입니다.
일반 내과, 치과, 한방, 물리치료 등 7만 1,566명에 대하여 진료하고 진단방사선 보균검사 등 각종 검사 1만 9,771건을 실시하여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 향상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병·의원, 약국, 167개소를 지도 점검하여 건전 의료행위 정착을 위해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건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보건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강증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강증진과장 이재석 건강증진과장 이재석입니다.
건강증진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55쪽입니다. 지역 보건 서비스 강화를 위하여 취학 전 어린이 양치교실 운영, 초등학교 학생 충치 예방사업 등과, 초등학교 구강보건실 운영, 구강질환 무료 예방진료, 불소용액 양치사업, 356쪽입니다. 노인 의치보철 시술비 지원 및 다문화가족 및 장애인 치아 돌보미 사업 등의 구강 건강관리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일반 및 한방, 구강질환자 7,878명에게 예방진료와 상담을 실시하였습니다.
357쪽, 예방 중심의 맞춤형 건강 관리를 위해 건강관리실, 체력단련실 운영 등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대사증후군 검진 및 대상자 등록 관리, 건강검진 유소견자 관리 및 연계서비스 제공, 고위험군 건강관리 심화교실 운영 등의 대사증후군 예방 관리사업 및, 358쪽입니다. 몸매 관리교실, 관절튼튼 운동교실, 가족 건강지킴이 교실 등 맞춤형 건강 프로그램과 어린이 영양교실 등 건강 첫출발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다음 쪽, 행복한 노년을 위한 보건서비스 제공을 위해 의료 취약 주민 방문 건강관리 사업과 건강 취약계층 심뇌혈관 질환 및 관절질환 관리교육, 유관기관 협약 및 협업을 통한 연계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치매 조기검진 5,826명,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 360쪽입니다. 치매 상담 및 관리, 인지 재활 및 치매가족 지지프로그램 운영, 치매 예방 건강강좌와 캠페인 등의 치매 예방 관리 및 치매 상담센터 운영으로 치매 관리사업에 만전을 기하였고, 만 65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운동교실과, 다음 쪽, 마사지 교실을 운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 증진사업 추진입니다. 달성군 정신건강 증진센터를 위탁 운영하여 정신건강사업 추진과 더불어 달성군 통합 정신·치매센터를 개소하였으며,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3개소에 시비 5억 400만 원을 지원, 재활훈련 실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고 있으며, 정신보건 심판위원회를 운영하여 정신질환자 227명의 입·퇴원 관리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건강증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김수용 농촌지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촌지도과장 김수용 농촌지도과장 김수용입니다.
농촌지도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65쪽입니다. 먼저 식량작물 생산기반 조성사업으로, 벼 육묘용 상토 지원사업을 비롯한 6개 사업 모두 완료하였으며, 논농업 직불제 등 시책사업에 따른 토양검정은 12월 중에 완료하겠습니다.
366쪽입니다. 원예작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친환경 안전 농산물 생산과 농작업의 생력화 사업 등 총 15개 사업 1,300농가에 9억 5,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다음은 과수원 생력화 사업을 비롯하여 월동기 병해충 예방을 위한 석회황합제 사업도 완료하였습니다.
꽃 육묘장 운영은 계절별로 26만 본을 생산하여 적기 적소에 배부하였습니다.
368쪽입니다. 농업인 전문능력 배양을 위한 농업현장 순회교육 등 13개 과정 3,798명 교육도 완료하였으며, 강소농 경영진단과 후속교육은 12월 중에 완료하겠습니다.
다음은 도시농업 활성화 사업으로, 도시농업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도시농업 아카데미 5개 과정 1,880명과 여성농업인 생활과학기술 교육도 실시하였습니다.
370쪽입니다. 농업인 조직체 육성입니다.
신기술 거점 농가로 육성하는 농촌지도자 460명과, 농업경영인 591명을 비롯하여 2,000명을 대상으로 유형별 학습활동을 지원하였습니다.
끝으로 농기계 임대사업과 수리장 운영은 3개 사업장에 7종 379대를 구비하여 10월 말까지 2,900대를 임대하였고, 가창 택배 서비스와 농기계 수리 586대도 지원하였습니다. 특히 5월과 6월, 10월과 11월 농번기에는 공휴일에도 농기계를 임대하여 농업인들의 불편을 최소화하였습니다.
이상 농촌지도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채명지 농촌지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사흘간에 걸쳐 2015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모두 보고받았습니다. 보고하신 실·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10시46분)
○의장 채명지 다음은 휴회결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 활동을 위하여 11월 19일부터 11월 27일까지 9일간 본회의를 휴회하고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있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이것으로 오늘 회의는 모두 마치겠으며 11월 30일 오전 10시에 본회의장에서 제4차 본회의를 열어 2015년도 제2회 추경안 제안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0시47분 산회)
○출석의원(8인) |
채명지하중환하용하구자학 |
김상영김성택엄윤탁신영희 |
○참석공무원 | |
군수 | 김문오 |
부군수 | 김부섭 |
주민복지국장 | 전종율 |
건설도시국장 | 남정호 |
정책사업단장 | 최상진 |
보건소장 | 박미영 |
농업기술센터소장 | 구본은 |
기획감사실장 | 오대진 |
법무규제개혁실장 | 류준영 |
자치행정과장 | 백진흠 |
세무과장 | 이상호 |
징수과장 | 정정희 |
회계과장 | 김대환 |
종합민원과장 | 김종호 |
토지정보과장 | 최흥섭 |
정보통신과장 | 서점태 |
주민지원과장 | 신후남 |
사회복지과장 | 김복수 |
희망지원과장 | 황애숙 |
농업정책과장 | 조현구 |
환경과장 | 송종구 |
청소위생과장 | 채후식 |
건설과장 | 이정균 |
도시과장 | 현병철 |
건축과장 | 박병국 |
교통과장 | 박영기 |
공원녹지과장 | 박치용 |
정책사업과장 | 방호현 |
경제과장 | 곽국일 |
문화체육과장 | 김외식 |
관광과장 | 표준식 |
보건과장 | 박성우 |
건강증진과장 | 이재석 |
농촌지도과장 | 김수용 |
○의회사무과 참석자 | |
사무과장 | 김정화 |
전문위원 | 정원희 |
전문위원 | 임동화 |
의사담당 | 김태경 |
지방행정주사보 | 이미경 |
지방속기주사보 | 배진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