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달성군의회

제157회 제3차 본회의(2007.02.07 수요일)

기능메뉴

회의록검색
  • 크게
  • 보통
  • 작게
닫기

맨위로 이동


달성군의회

×

설정메뉴

발언자

안건

안건선택

맨위로 이동


본문

제157회 달성군의회(임시회)

본회의회의록
제3호

달성군의회사무과


2007년 2월 7일(수) 10시


의사일정(제3차 본회의)

1. 2007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

2. 군정질문의 건

3. 대구광역시 달성군 차상위계층 국민건강보험료 지원 조례안

4. 대구광역시 달성군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5.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6. 대구광역시 달성군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7. 대구광역시 달성군 리장 정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8. 대구광역시 달성군 반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9. 대구광역시 달성군 건축물관리자의 제설 및 제빙 책임에 관한 조례안

10. 대구광역시 달성군 근로자복지관 민간위탁 운영 동의안


부의된 안건

1. 2007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군수제출)

2. 군정질문의 건

3. 대구광역시 달성군 차상위계층 국민건강보험료 지원 조례안(이석원 의원 외 7인 발의)

4. 대구광역시 달성군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전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5.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6. 대구광역시 달성군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7. 대구광역시 달성군 리장 정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8. 대구광역시 달성군 반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9. 대구광역시 달성군 건축물관리자의 제설 및 제빙 책임에 관한 조례안(군수제출)

10. 대구광역시 달성군 근로자복지관 민간위탁 운영 동의안(군수제출)


(10시00분 개의)

○의장 정종태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제157회 달성군의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개의합니다.


1. 2007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군수제출)

○의장 정종태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07년도 주요업무보고 청취의 건을 상정합니다.

어제에 이어 나머지 부서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건설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설과장 문지수 건설과장 문지수입니다.

건설과 2007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드리겠습니다.

229쪽 일반현황은 서면으로 갈음을 하고 235쪽, 주요업무 추진계획부터 보고드리겠습니다.

237쪽, 군 직영 골재채취사업 추진입니다.

사업지구는 옥포 교항지구 등 7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허가 예정량은 211만 3,000㎥이며 판매 계획량은 작년과 비슷한 120만㎥가 되겠습니다. 판매수입 예상액은 82억 7,500만 원이며 그 중 채취료가 58%, 원석대가 24%, 관리비가 18%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재정수입은 24억 8,200만 원으로서 전체 판매수입의 30%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238쪽, 전문건설업 등록 관리입니다.

2006년 12월 말 기준 19개 업종에 286개 업체가 등록되어 있으며, 매년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가 되겠습니다. 부실업체 등록을 사전 차단하기 위하여 신규등록 시 심사 강화와, 등록일로부터 3년이 경과되어 등록사항 재신고 대상업체 관리를 철저히 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39쪽, 건설사업의 완벽한 추진입니다.

금년도 건설과 총 사업규모는 98건에 256억 3,500만 원이며, 그 중 국ㆍ시비 보조사업이 29건에 156억 4,900만 원, 군 자체사업은 69건에 99억 8,6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사업별로 보면 치수 및 재해 예방을 위한 하천사업은 31개 지구에 93억 6,700만 원이며, 그 중 보조사업이 6개 지구에 50억 1,700만 원, 자체사업은 25개 지구에 43억 5,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지구별 사업내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242쪽, 상ㆍ하수도 사업입니다.

상ㆍ하수도 사업은 27개 지구에 74억 7,900만 원이며 그 중 보조사업이 11개 지구에 61억 8,400만 원, 자체사업은 16개 지구에 12억 9,500만 원이 되겠으며, 지구별 사업내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244쪽, 농업 기반사업입니다.

농업 기반사업은 40개 지구에 87억 8,900만 원이며 그 중 보조사업이 12개 지구에 44억 4,800만 원, 자체사업은 28개 지구에 43억 4,100만 원이 되겠으며, 지구별 사업내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다음은 247쪽, 주요사업 추진현황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249쪽, 수해 상습지 개선사업입니다.

대상사업은 현풍천, 금포천, 하빈천, 진천천 4개 지구이며, 사업기간은 2004년부터 2011년까지입니다. 총 사업비는 592억 9,900만 원이며 금년도 투자액은 44억 1,7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추진상황을 보면, 현풍지구는 2006년까지 사업비 투자가 완료되어 금년도 6월 준공 목표로 차질 없이 추진되고 있으며 현재 진도는 70% 정도가 되겠습니다.

금포지구와 하빈지구는 2006년부터 실시설계를 진행 중에 있으며, 진천지구는 금년도에 실시설계를 발주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다음은 250쪽, 현풍하수처리장 건설입니다.

하수처리 구역은 현풍, 유가, 구지 일원이며, 1단계 사업규모는 1일 2만 3,000톤이 되겠습니다.

사업 추진은 하수처리장과 차집관거 중 주요 간선 28km는 대구시 종합건설본부에서 시행하고 지선 37km는 사업비 192억 원의 국ㆍ시비를 대구시로부터 재배정 받아 우리 군이 시행하게 되겠습니다.

사업기간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간이며, 251쪽, 재원별 투자계획은 총 사업비 798억 3,800만 원이며 금년도 투자액은 124억 1,1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추진실적은 금년도 1월에 대구시 종합건설본부 시행분에 대해서는 조달청 입찰이 완료되어 시공업체와 감리업체가 선정이 되어 현재 착공 준비 중에 있으며, 우리 군 시행분은 실시설계 용역 결과 사업비가 당초보다 50억 원이 증액되어 현재 환경부에 재원조달 및 사용계획을 협의 중에 있습니다. 협의가 완료되는 2월 중순경 사업을 발주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다음은 252쪽, 농촌정주권 개발사업입니다.

1차 대상사업은 7개 읍면으로 2004년도에 완료가 되었으며 사업비는 면당 30억 원으로 총 210억 원이 투자가 되었습니다. 2차 사업은 6개 면에 사업기간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이며 사업비는 면당 30억 원으로 180억 원이 투자가 되겠습니다.

투자계획은 금년도에는 20억 8,500만 원으로 현풍 및 옥포지구의 사업비가 되겠으며, 향후계획은 면 지역에 한하여 2013년까지 1개 면당 30억 원씩 순차적으로 투자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253쪽, 하빈지구 배수 개선사업입니다.

하빈지구 배수 개선사업은 배수장 2개소로 2004년 3월에 착수하여 2007년 7월 준공 예정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예산을 재배정 받아 우리 군이 시행하고, 우리 군 농촌공사 달성지사에 위탁하여 공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비는 213억 6,800만 원으로 전액 국비이며, 금년도 투자액은 30억 원이며 내년도에는 13억 9,700만 원을 확보하면 모든 사업이 완료가 되겠습니다.

현재까지 추진사항은 토목, 건축, 전기, 기계공사는 완료가 되었으며, 금년도 6월까지 배수펌프장 유입 배수로를 설치하여 우수기 펌프장 가동에 만전을 기하고, 2008년 7월 준공 시까지 부대공사 및 조경공사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254쪽, 구지 징리지구 배수 개선사업입니다.

사업규모는 배수장 2개소 설치공사로, 하빈지구와 같이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예산을 지원받아 시행하고 있습니다. 총 사업비는 40억 원이며 금년도는 19억 9,000만 원을 투자하여 12월 말 준공으로 차질 없이 추진 중에 있습니다.

현재까지 추진사항은 배수장 토목 및 건축공사는 완료가 되었고, 금년도 6월까지 전기 및 기계공사를 완료하고 12월 말까지는 전체공사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끝으로 255쪽,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서 시행 중인 우리 군 관내 또는 우리 군 하천사업과 관련이 있는 인근 자치단체 하천사업 현황입니다.

지구별 세부 사업내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건설과 2007년도 주요업무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정종태 건설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로교통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로교통과장 이기섭 도로교통과장 이기섭입니다.

도로교통과 2007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59페이지 일반현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269페이지, 주요업무 추진계획입니다.

도로망 확충과 유기적인 교통체계 확립입니다.

먼저 주민과 함께하는 대중교통문화 정착으로, 지하철과 시내버스 연계 운영과, 시내버스 준공영제 실시에 따른 노선개편 확대와 환승체계 구축으로 대중교통 이용 확대로 교통불편 민원 발생 시 현장 확인 및 신속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2006년 11월 1일 2차 시내버스 노선 개편 시 주민 건의사항을 대구광역시 담당부서와 협의 중에 있습니다.

다음, 교통안전시설물의 확충 및 정비입니다. 차선 및 횡단보도 도색 등 6건에 5억 600만 원을 투자하여 차질 없이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270페이지, 주민 편의를 위한 교통질서 확립으로, 불법주차 단속 및 홍보 추진입니다.

52개 구간 42km를 단속지역으로 하여 간선도로, U턴 지역, 승강장, 재래시장, 학교 주변 등에 대해 불법주차 단속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홍보활동을 강화하여 주민 편의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무단 방치차량 정리 철저입니다. 순찰활동을 강화하고 처리 대상에 대해 신속한 현장조사 및 자진처리를 적극 유도하고, 자진처리가 되지 않는 차량에 대해서는 임시보관장소로 즉시 견인 조치토록 하고, 사전 예방을 위한 주민 홍보를 강화하겠습니다.

다음은 사업용 화물자동차 유류보조금 지급입니다. 대상은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등록된 차량으로, 지급 기준액은 경유, LPG유류 사용분으로 톤수별 차등지급이 되겠으며, 금년도 예산은 107억 1,300만 원이 되겠으며, 주행세로 전액 국비보조가 되겠습니다.

271페이지, 자동차 불법정비 지도 단속으로 1개 반 5명 단속반을 편성해서 구조 변경, 봉인 탈락, 불법 등화류 등을 단속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자동차 관리사업체 지도 관리입니다. 정비업, 매매업, 폐차업 등 자동차 관리사업체를 대상으로 불법정비, 장부 관리상태 등을 정기ㆍ수시점검을 실시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효율적인 자동차 관리업무 추진입니다.

자동차 민원창구 안내 도우미를 배치하여 등록절차 안내 등에 대해 친절, 신속한 민원처리를 유도하겠으며, 자동차 정기검사 사전 안내 서비스를 실시하여 유효기간을 사전에 예고하여 과태료 부담 경감 및 행정력 절감 효과를 도모하겠습니다. 또한 의무보험 미가입자 관리를 철저히 하여 과태료 경감 및 무보험 사고 예방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272페이지, 편리하고 원활한 도로망 확충입니다.

2007년도 도로사업 현황은 60개 사업에 연장 29.582km, 사업비 258억 8,900만 원으로 도시계획도로 31개소 19.273km, 183억 3,800만 원, 군도 2개소 1.7km, 14억 4,100만 원, 농어촌도로 14개소 6.642km, 39억 5,000만 원, 기타 도로 및 도로 유지관리 13개소 1.967km, 21억 6,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도시계획도로 개설 추진은, 화원 설화 순환도시계획도로 개설 등 31개 사업이 되겠으며 단위사업장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275페이지, 군도 개설 추진은 2개 사업으로 구지 평촌에서 유가 음리 오산구간이 되겠습니다. 도로 확포장 공사와 현풍 원교에서 오산 간 도로 건설공사가 되겠습니다.

농어촌도로 개설은, 276페이지입니다. 14개 사업으로 화원 명곡 진입도로 확ㆍ포장 공사 등이 되겠으며, 단위사업장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277페이지, 도로 유지ㆍ관리는 가창 정대진입로 확ㆍ포장공사 등 13개 사업이 되겠으며 단위사업장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278페이지,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매수는,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로 인한 사유 재산권 행사 제한에 따른 민원 해소 차원으로 2007년 예산 4억 원으로 해결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주민 편의를 위한 보상업무 추진입니다.

2007년도 추진은 총 41개 사업, 401억 7,900만 원으로 국비사업은 4개소, 시비사업은 2개소, 도시계획도로 및 군도사업은 33개소가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280페이지, 관내 주요 시책사업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한국도로공사에서 시행하는 고속도로 신설 및 확장으로 2개 사업이 되겠습니다. 김천에서 현풍 간 고속도로 건설은 2007년 12월 준공 목표로 현재 80%의 진도로 시행하고 있으며, 구마고속도로 확장은 현재 30%의 진도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건설교통부에서 시행하는 국도 5호선 확장은 2006년 2월 보상 및 공사를 착수하였고, 금년도에는 화원 천내교에서 옥포 구간 공사 추진계획이 있습니다.

대구시에서 시행하는 달성 2차산업단지 지원도로 개설사업은 현재 40%의 진도로 계속 추진 중에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구시에서 추진 중인 도로개설사업은 본리택지에서 명곡택지 간 도로 건설 등 4개소로 단위사업장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도로교통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정종태 도로교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재난안전관리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난안전관리과장 이덕수 재난안전관리과장 이덕수입니다.

재난안전관리과 2007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드리겠습니다.

일반현황입니다. 일반현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295페이지, 2007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으로 지역안전 관리계획 수립 시행입니다.

각종 재난 대비 유형별, 단계별, 항목별 관리체계를 수립, 재난 발생 시 일관성 있는 대처를 위한 기준을 수립하겠습니다. 자연재난, 인적재난, 국가재난 해당 분야에 대해서 재난 정보의 수집 및 전달체계, 특정관리 대상시설의 관리, 재난 응급복구 대책을 수립하겠습니다.

계획 수립은 유형별, 단계별, 항목별로 구분하여 유사시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296페이지입니다. 재난안전관리기금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입니다.

재난안전관리기금의 사용 용도는 재난 사전대비 점검 결과 시급히 보수 정비를 요하는 사업, 응급복구 및 응급조치 비용, 재난 경감을 위하여 필요한 연구 용역사업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겠습니다.

재난기금은 현 보유액이 20억 4,647만 9,000원으로 정기적금액이 15억, 운영기금으로 보통예금이 5억 4,647만 9,000원을 적립해 두고 있습니다.

297페이지입니다. 사전 재해 영향성검토협의 운영 활성화입니다.

「자연재해대책법」 및 동법시행령이 개정으로 인해서 개발과 관련된 계획 면적이 30만㎡ 이상일 때만이 재해 영향성검토를 실시하던 것을 30만㎡ 미만 개발사업과 당초부터 제외되어 왔던 도로, 철도 등 기타 개발사업에 대해서도 재해 영향의 사전 검토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계발계획 단계에서부터 면밀히 검토하여 시행에 착오가 없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군 재해 영향성검토를 위한 위원회는 대학교수 등 23명으로 구성했습니다. 지난해는 공장 신축 분야, 토사 채취, 도로 개설, 하천 골재채취에 대해서 재해 영향성검토를 실시한 바 있습니다.

298페이지입니다. 재해 취약 비법정 소규모 공공시설 정비입니다.

비법정 소규모 시설은 대부분 통수단면이 부족하여 홍수 시 이물질 등이 걸려 유수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고 피해 확산의 주요인이 되고 있으나, 소규모 시설물에 대한 예방 투자가 미흡하여 복구비 지원 확대 등 방재행정의 악순환이 초래되어 온 것이 현 실정입니다.

우리 군 관내 소규모 시설 정비 대상시설로는 소하천 92개소 54km, 소교량 238개소, 낙차공 등 기타시설이 263개소가 비법정 소규모 시설로 조사가 됐습니다. 열악한 지방재정 형편과 투자 우선순위에 밀려 소규모 시설에 대한 재해 예방투자가 미흡했습니다만은 소방방재청과 협의해서 제도적으로 재해 예방 투자사업비 확보에 노력토록 하겠습니다.

재난 예방을 위한 침수 위험지구 관리입니다.

관내 침수 대상지구로는 화원 성산, 다사 강정, 구지 오설, 구지 도동, 4개 지구 132세대가 상습 침수지역입니다. 피해 대상 인원과 피해 대피장소 등을 사전에 선정하고, 유사시에 30분 이내에 대피할 수 있도록 표준행동메뉴얼을 작성, 훈련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작년에는 하빈 봉촌지구에 18가구의 이주를 완료시켰고 구지 오설지구에는 금년 말까지 보상계획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60% 진도로 추진했습니다. 보상 총액은 96억이 되겠습니다.

다음 300페이지, 시설물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재난 발생 위험이 높은 시설에 위험요인을 사전에 해소하고 실태를 분석 평가하여 효율적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토록 하겠습니다.

안전관리 대상은, 강화대상 시설로는 시특법에 관련된 시설 109개소는 연간 2회 이상 점검을 하고, 특정관리대상 시설물 221개소에 대해서는 연간 2회 및 수시점검을 실시하여 위해요인을 사전에 해소하고, 점검 시 문제점이 발견될 시에는 지체 없이 보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안전관리자문단 운영 활성화입니다.

우리 군 안전관리자문단은 12명으로 구성해 두고 있습니다. 안전관리계획, 분야별 안전대책 수립 등에 관한 기술자문과 주요시설물 안전점검 및 등급 조정에 관한 기술자문에 참여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의 기술적 자문에 적극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지역 자율방재단 운영 활성화입니다.

지역 자율방재단은 196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재난 위험요인 사전 예찰활동 및 신고, 재난 발생 시 주민 대피, 피해현황 조사 보고, 구호물자 전달 및 복구 지원에 적극 참여토록 하겠습니다.

끝으로 민방위 교육 훈련 및 비상대비태세 확립입니다.

민방위대 조직은 지역 여건에 부합되는 민방위대 조직과 민방위대장의 지휘능력 향상을 위한 중앙교육을 확대하고, 민방위 훈련은 재난 재해를 대비한 다양한 훈련으로 대체토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체험 실습 위주의 교육 실시와 일상생활에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으로 훈련을 실시토록 하겠습니다.

비상대비태세 구축으로, 을지연습을 강화하고 충무계획에는 가축 전염병 구제역 발생 시의 육류 수급 대책과 건설기계 정비업체 동원 지정 변경을 2007년도 충무계획에 반영을 하고, 정기적인 수질검사를 실시하여 비상대비태세를 완벽하게 구축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07년도 주요업무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정종태 재난안전관리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시건축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건축과장 장덕수 도시건축과장 장덕수입니다.

도시건축과 소관 2007년도 주요업무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 순서는 일반현황과 2007 주요업무 추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보고서 307쪽이 되겠습니다. 저희 부서 일반현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313쪽이 되겠습니다. 2007 주요업무 추진계획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쾌적하고 활기찬 도시환경 조성입니다.

도시환경 개선사업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업은 옥외광고물 부분, 현수막 게시대 설치 5개소,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대 설치, 불법 광고물 수거 보상제 실시 등이 되겠습니다.

가로등 보안등 설치 및 유지 관리입니다. 취약지역 보안등 설치공사, 노후 가로등ㆍ보안등 공사, 보안등 보수 등이 되겠습니다.

도시환경 정비 부분입니다. 관문도로, 철로변 등을 중점 정비하고 가로환경 정비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공공시설 안내판 정비사업으로 관문도로변 군정 홍보 안내판을 정비토록 하겠습니다.

314쪽입니다. 건전한 건축문화 정착입니다.

무허가 건축물을 일제정비 계획을 수립, 사전 예방 및 이행강제금 부과, 고발 등 행정조치로 무허가 건축물 발생을 억제토록 하겠으며, 건축물 부설주차장을 엄격히 사후 관리하여 정기ㆍ수시점검을 실시, 부설주차장 관리의 효율성 제고와 주차난 해소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개발제한구역 관리의 내실화를 위해 불법행위 예방 순찰 강화, 담당구역 일일순찰 확행, 정기점검을 실시하고 경계표석 및 안내판 등 시설물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315쪽입니다.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추진입니다.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지원사업은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들의 정주생활권 향상을 위해 국비 70%, 군비 30%를 투자, 기반시설을 확충, 주민 불편을 해소코자 함이 목적으로, 금년 화원 명곡 진입로 및 주차장 설치공사 등 5개 사업에 사업비 14억 5,000만 원을 책정, 현재 실시설계 발주 중에 있으며 국비가 교부 결정되면 공사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사업내역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316쪽입니다. 개발제한구역 내 경계표석 및 안내판 설치입니다.

2006년 10월 30일 우리 군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됨에 따라 제1종 지구단위 계획이 결정됨에 용도구역이 명확하게 설정,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를 사전 예방 및 주민들에게 홍보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사업비 2억 3,400만 원으로 화원읍을 비롯한 5개 읍에 대해서 경계표석 및 안내판을 설치하고 사후관리에 철저를 기하고자 합니다.

설치공사는 지난해 12월 발주하여 현재 대상지역을 현장 조사 실시 중에 있습니다.

317쪽입니다. 달성군 도시관리계획(정비) 수립 용역입니다.

불합리한 도시계획시설 및 10년 이상 된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해 존치, 폐지, 변경 여부를 검토 반영하고, 단계별 집행계획과 또한 도시계획 관련 각종 현황을 작성, 군 지역 실정에 부합되는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을 수립하고자 우리 군 전역 427km에 2006년 11월 15일 용역을 착수, 2007년 1월 말 현재 공정률 8%입니다.

기대효과로는 불필요한 도시계획시설을 전면 재검토하고 지역민의 사유재산을 보호, 민원을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관리계획을 수립, 균형적인 개발을 유도하겠습니다.

318쪽입니다. 다사 소도읍 육성사업 추진입니다.

「지방소도읍육성지원법」에 의거, 2005년도 대상지역으로 선정되어 총 226억 원의 사업으로 서재 근린공원 조성사업, 먹거리단지 조성, 다사문화복지센터 건립 등 3개 사업이 지난해 9월 29일 행정자치부에 사업계획 변경 승인 신청을 하였습니다.

지난 1월 31일 행정자치부에서 개최하는 다사 소도읍 육성 정책심의회에 참석, 저희 군에서 승인 요청한 사업계획 변경안에 대하여 제안설명을 한 상태입니다. 추후 사업계획 변경이 승인 및 협약변경 체결 후 단위사업별로 사업을 시행,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20쪽이 되겠습니다. 쾌적한 주거환경 개선입니다.

농촌 주택개량사업의 금년도 사업량은 저희 군이 20동으로 농촌 주거환경 개선지구, 아름마을 가꾸기사업 대상지 거주 주민, 농민후계자, 전업농, 고령자 및 장애인 주택, 노후불량주택 순으로 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며, 주거 전용면적이 100㎡ 이내에 개축 또는 신축, 30평 기준으로 4,000만 원 융자에 5년 거치 15년 균등상환이고, 취ㆍ등록세 면제, 재산세가 5년간 감면됩니다.

공동주택 지원사업 부분입니다. 지원 대상은 10년이 경과한 분양주택단지 35개 아파트 중 10개 단지를 지원할 예정이며, 지원 규모는 입주자 대표회의에서 대표회의장 및 관리소장이 신청, 심의위원회에서 사업 적정 여부를 심의 후 결정, 예산 범위 내에서 지원할 예정이고, 사업 내용은 단지 내 도로 및 보안등 보수, 하수도 준설 및 보수, 경로당 증ㆍ개축, 어린이놀이터 보수 등이 되겠습니다.

다음, 관내 시공 중인 아파트 현황은 화원 ‘달성 래미안’ 등 10개소 6,775세대가 되겠습니다. 현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322쪽입니다. 공공건물 신축공사 추진입니다.

금년도 공사 중인 공공건물은 현재 6건으로, 청소년수련관 건립공사는 기초파기 공사 중 시공사 부도로 인한 공사 중단되었으나 보증업체에서 시공, 공사 추진에 차질 없도록 하겠습니다.

다사읍 및 가창면 증축공사는 기존 청사와 어울리게 입면조정 설계작업 중에 있으며, 하빈ㆍ구지 어린이집은 기존 건물 철거 후 공사착공 준비 중에 있습니다.

농수산물유통센터 물류창고 건립공사는 문화재 조사 관계로 용역을 일시 중지하였으나 1월 10일 문화재 발굴조사가 완료되어 설계용역 중에 있고 공사 발주토록 하겠습니다.

이상 도시건축과 2007년도 주요업무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정종태 도시건축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공원녹지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원녹지과장 채수묵 공원녹지과장 채수묵입니다.

공원녹지과 2007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드리겠습니다.

327쪽, 보고 순서는 일반현황과 2007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327쪽의 일반현황은 서면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331쪽, 2007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입니다.

333쪽, 아름답고 가치 있는 공원ㆍ녹지 조성에 목표를 두고, 먼저 산지자원의 기반 구축의 조림사업입니다.

조림은 산불 피해지에 대한 조기 녹화로 산림의 가치 증대에 기여하고자 다사 서재리 큰나무 조림 5ha에 대해서 보조사업 4,900만 원으로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숲가꾸기 사업입니다. 숲가꾸기 사업은 건전한 산림 경제의 기능 제고를 위해 조성하는 사업이며, 사업량은 덩굴제거, 풀베기, 천연림 보육 등 724ha에 보조사업 9억 4,100만 원으로 추진하겠습니다.

334쪽, 사방사업입니다. 사방사업은 집중호우에 대비한 재해의 사전 예방과 수원 함양 등 산림의 사회적 기능 제고를 목적으로 하며, 사업 위치는 유가면 음리와 용리이며 사업비는 보조사업 2억 5,000만 원으로 추진하겠습니다.

임도사업입니다. 임도사업은 산불 초동진화와 산림병해충 예방에 기여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위치는 신설노선 사업량 2km로 옥포면 송촌리에서 논공읍 노이리 기존 임도와 연결하며, 구조개량은 구지면 대니산 임도 등 10km와 보수 5km, 사업비는 신설 및 구조개량 모두 보조사업으로 7억 700만 원으로 추진하겠습니다.

335쪽입니다. 등산로 정비사업입니다. 훼손된 등산로를 친환경적으로 정비하고자 2006년도의 시행구간에서 계속 연계한 비슬산 참꽃군락지에 자체사업 1억 원으로 추진하겠습니다.

다음, 아름다운 녹지환경 조성에 금포 수변공원 조성사업입니다.

논공읍 금포리 금포택지개발지구 내의 수변공원 조성사업으로 2006년도에 편입토지보상을 협의하였으며, 2007년도 사업비 5억 원으로 실시설계 하여 공사를 원활히 추진하겠습니다.

336쪽, 아름다운 달성만들기 및 녹지 조성사업입니다. 달성군 관내 주요 도로변과 공한지에 수목 식재 및 사후관리에 사업비 5억 원으로 시행하겠습니다.

도로 확장지 수목 이식입니다. 도로 확장에 따른 지장수목을 적정한 장소로 이식하기 위하여 느티나무 등 11종에 5,000만 원으로 시행하겠습니다.

다음은 군청사 및 관내 조경지 관리입니다. 군청사 및 관내 조경지 관리로 자연과 문화가 있는 휴식의 숲 조성을 하기 위하여 사업비 3억 2,200만 원으로 수목 식재지 사후관리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337쪽입니다. 달성공단 후면도로 녹지대 조성사업입니다. 달성지방산업단지 후면 진입도로 개설에 따라 녹지대 3000㎡에 1억 원 사업으로 조성하여 지역민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겠습니다.

다음은 유가 한정리 소공원 조성사업입니다. 유가면 한정리 삼정자 주변에 사업비 2억 5,000만 원으로 소공원을 조성하여 휴식공간을 제공하겠습니다.

338쪽입니다. 산림휴양공간 조성사업입니다.

화원자연휴양림 조성사업입니다. 화원읍 본리리 산 129번지 용문사 주변으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총 사업비 보조사업으로 36억 6,100만 원이며 2006년도에 23억, 2007년 12억 5,000만 원으로 시행하겠습니다.

추진실적으로는 문화재 지표조사, 자연경관 영향 검토, 사전 환경성 검토를 하였으며, 향후 추진계획으로는 실시설계, 기반 조성공사 등을 시행하여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339쪽입니다. 다음은 산림욕장 조성사업입니다. 공유지를 활용하여 여가 및 휴양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사읍 이천리 군유림 50ha에 사업비 4억 원으로 실시설계 하여 공사를 시행토록 하겠습니다.

산림보호 대책입니다.

산불 방지는, 산림자원의 보호와 자연생태계 보전으로 산림의 생산적 공익적 기능을 유지하고, 군민의 재산과 인명피해 방지에 목적을 두고, 추진계획으로는 산불방지 종합대책본부를 설치 운영하고, 기간은 춘기는 1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와 추기는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입니다. 또한 입산 통제구역 지정, 등산로 조정고시 공고, 산림 관리에도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340쪽입니다. 산불 진화용 헬기는 시ㆍ군비 5억 원 예산으로 임차 운영하겠습니다. 그리고 산불 예방활동 및 진화장비 확보로는, 산불 전문진화대 운영 20명, 산불 유급감시원 121명, 산불 진화차량 2대 배치하여 산불 예방에도 적극 추진하겠으며, 산불 홍보활동으로는 산불예방 홍보물 제작 설치와 차량 가두방송, 취약지역 주민들에 대한 산불 예방 교육 등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금년에도 산불 없는 한 해가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습니다.

다음은 산림 병해충 방제입니다. 다사읍 소나무 재선충 발생지 일원은 피해목 제거, 소나무 재선충 광역 방제작업 65ha, 예찰조사원 운영, 방제사업 등을 실시하여 산림 병해충 방제에도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341쪽, 공원ㆍ유원지 조성 관리입니다.

먼저, 다사 서재리 근린공원 조성사업으로, 다사 서재리에 면적 5만 8,050㎡에 실시설계 용역과 편입토지 보상 협의 중에 있으며, 향후 추진계획으로는 사전 환경성 검토와 대구광역시에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 공원 조성사업 추진에 적극 노력을 하겠습니다.

342쪽, 마지막으로 공원ㆍ유원지 관리 철저입니다. 효율적인 공원ㆍ유원지 관리로 놀이공간 등을 제공하기 위해 불법행위 예방 순찰 강화와 수목관리, 환경정비 58개소, 정화조, 공원 등 관리 10개소, 용연사 오수정화조 및 배수로 설치와 화원 명곡체육공원 시설결정 입안 용역 등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 공원녹지과 주요업무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정종태 공원녹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보건소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소장 박미영 보건소장 박미영입니다.

보건소 소관 2007년 주요업무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351페이지입니다. 지역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입니다.

먼저 환자진료는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환자 연간 총 인원은 일반진료가 7만 명, 한방진료 7,000명, 치과진료 4,500명, 물리치료 5,000명 실시하겠습니다.

다음, 보건시설 개선입니다.

보건지소, 진료소 이전 신축입니다. 투입예산은 8억 9,000만 원으로 하빈면 보건지소를 신축하겠습니다. 유가면 한정보건진료소를 이전 신축하겠습니다. 가창면 보건지소에 한방진료실을 설치하겠습니다.

다음, 구강보건사업으로 투입예산은 7,000만 원입니다. 사업 내용은 치아홈메우기 사업, 불소용액 양치사업, 노인 무료 의치보철사업 등 여러 가지 사업을 실시하겠고, 관내 희망주민을 대상으로 스케일링 등 구강 예방진료를 실시하겠습니다.

다음, 국가 암 관리 사업입니다.

투입예산은 2억 3,000만 원으로, 의료급여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 대상으로 암 검진을 독려하고, 암 환자 의료비 지원입니다. 106명을 대상으로 1억 400만 원이 지원되겠습니다.

353페이지입니다. 맞춤형 건강증진사업 활성화입니다.

먼저, 모자보건사업에 투입예산은 2억 9,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영ㆍ유아 보건증진사업이 있고 모성 건강증진사업, 청소년 성교육이 있겠습니다.

저출산 시대에 즈음하여 출산 지원시책으로는, 불임부부 지원사업으로 36명에게 9,100만 원이 지원되겠습니다.

산모ㆍ신생아 도우미 지원사업으로 148명에게 8,100만 원 지원되겠습니다. 출산 축하금으로 셋째 이상 출생아에게 1인당 30만 원씩 지급이 되겠습니다.

354페이지입니다. 건강생활 실천사업입니다.

투입예산은 9,400만 원이며 금연, 영양, 운동, 절주 4대 사업이 있습니다. 각 사업은 교육과 홍보가 기본 사업내용으로 들어가고, 특히 운동과 영양사업 경우에는 개인별 맞춤식 식단 처방과 운동 처방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2006년 운영한 아줌마 몸짱 교실의 경우에는 호응이 좋아서 2007년에는 확대 실시하겠습니다.

절주사업은 건강한 직장 만들기 차원에서 사업의 방향을 산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355페이지입니다. 금연클리닉 운영사업입니다.

투입예산은 1억 8,000만 원으로 연중 운영하겠습니다. 금연 결심자 1,000명을 대상으로 보건소 금연클리닉과 읍면을 방문해서 이동클리닉 및 산업체를 방문해서 금연캠프 식으로 운영을 하겠습니다.

사업 내용은, 담배를 끊는데 도움이 되는 각종 의과학적 방법을 총동원하여 기본적으로 1주에 한 번씩 6주간 전화나 면담, 이메일 등을 통하여 추후관리를 함으로써 금연을 성공으로 유도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356페이지입니다. 질환 관리사업입니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관리사업으로 투입예산은 2,300만 원입니다. 먼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관리사업은 환자분들을 등록 관리해서 한 달에 한 번씩 추후관리 하도록 하겠고, 관리교실도 운영하겠습니다. 보건소와 읍면을 순회해서 15회에 걸쳐서 운영을 하겠고, 우리 동네 고혈압 당뇨병 관리교실로 병ㆍ의원 원장들하고 연계해서 병원 원장이 자기 환자들을 직접 교육하는 방식으로 20번에 걸쳐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당뇨병 시식회를 개최하여서 직접 식단을 환자 본인이 선택하게 함으로 해서 환자 개개인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진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당뇨병 심화교실입니다. 4주 프로그램으로 운영을 할 예정인데 일회성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4단계 요법으로 좀 더 특화시켜서 사업을 운영하겠습니다.

다음, 만성질환 예방교실로, 읍면 경로당을 방문하여서 사업을 하겠고, 함께하는 군민 건강의 날 행사를 군민체육대회와 연계해서 사업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57페이지입니다. 방문 보건사업입니다.

국가적인 정책 등에 발맞추어 찾아가는 서비스의 일환으로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주민 불편을 해소하는데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권역별, 지역별, 팀별 조직을 강화하여서 누락되는 대상자가 없도록 사전 기초조사를 철저하게 해서 말 그대로 발로 뛰는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그리고 지역 내에 복지팀이나 자원봉사조직과 연계하여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재가 암 환자 관리사업은, 치료 중인 암,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적인 측면과 통증 관리, 자원봉사자 연결 등의 사업으로 운영을 하겠습니다.

다음, 한방 방문사업도 역시 팀별 조직으로 나누어서 최소 주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가정을 순회 방문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입니다.

투입예산은 4,100만 원으로 장애인을 위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세부 프로그램은, 재활운동실을 운영하고 휠체어 등 재활기구를 대여하고, 작업치료나 치료 레크레이션, 영화나 박물관 관람 같은 장애인 문화체험을 통하여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도모하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지역 내 기관인 장애인복지관과 연계한 사업도 다각도로 모색하도록 하겠습니다.

359페이지입니다. 한방 건강증진 HUB보건소 사업으로 투입예산은 7,500만 원입니다.

한방 기공체조 프로그램을 운영하겠습니다. 보건진료소 지역의 관할주민과 고혈압, 당뇨환자 등을 대상으로 주 2회 정도로 12주 과정으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360페이지입니다. 사상체질 교실도 기공체조와 연계하여 운영하겠고, 중풍 예방교실을 건강 취약 경로당을 우선적으로 선정해서 진행을 하겠습니다.

한방 추나교실도 20대에서 40대 지역주민 중 경추나 요추 등 통증 호소자를 대상으로 교실을 운영하겠습니다.

기타 한방 산전ㆍ산후 건강교실이나 한방 육아교실, 다양한 사업이 있겠습니다.

361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정신보건 및 치매 관리사업으로, 투입예산은 3억 3,000만 원입니다. 이 사업은 직접 서비스보다는 정신보건센터를 위탁 운영하고 사회복귀시설에 운영비를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예산입니다.

사회복귀시설로는 생활 이용시설로 ‘달성베네스트’가 있고 주거시설 ‘꿈이 있는 사람들’, 작업 훈련시설로 ‘해피하우스’가 있습니다.

362페이지입니다. 희귀ㆍ난치성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으로, 투입예산은 2억 2,000만 원입니다.

지원 대상 희귀질환은 89개 질환으로 지원 대상자는 소득 수준과 재산 기준을 조사해서 결정하도록 하겠으며, 현재 계획된 인원은 48명입니다.

다음 363페이지입니다. 전염병 및 의약업소 관리입니다.

전염병 관리를 통한 군민 건강증진 도모에 사업의 목표가 있겠고, 투입예산은 1억 1,000만 원입니다. 전염병 관리체계 확립을 위해서 역학조사반을 상시적으로 편성해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하절기 방역 비상근무를 집중적으로 실시하겠고, 적극적인 방역활동 전개를 위하여 방역 취약지 분무소독을 확대 실시하고, 수거식 화장실 소독 등의 사업을 하겠습니다.

다음, 환자 조기 발견 및 확산 방지를 위해서 질병정보 모니터를 지정해서 운영하고, 보균자 찾기 사업이나 질병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지정해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결핵환자 발견 및 치료에도 철저를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364페이지 마지막입니다. 의약업소 관리사업으로, 건전 의료행위 정착을 위해서 지도 점검을 강화하고, 의약분업 위반 업소 및 마약류 관리에 철저를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건소 소관 2007년도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정종태 보건소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업기술센터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서말희 농업기술센터소장 서말희입니다.

2007년도 농업기술센터 주요업무를 보고드리겠습니다.

367쪽, 일반현황은 자료로 보고드리겠습니다.

371쪽, 2007 주요업무 추진계획입니다.

373쪽, 맞춤형 농산물 생산 지도입니다.

친환경 고품질 식량작물 생산 지도입니다.

벼 친환경농법 생산 시범으로 기능성 특수미 ‘향미’ 단지 브랜드화와, 친환경 ‘바이올리빈’ 단지 조성으로 고품질 쌀 생산에 기여하겠습니다.

팽연왕겨 육묘 지원사업과 벼 육묘상자 처리 농약 지원사업은 전 농가를 대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374쪽, 앞마당 육묘기 시범사업입니다. 올해 처음 시작으로 못자리가 없는 앞마당에서 상자육묘를 함으로써 노동력과 생산비가 절감된 건모를 육성하겠습니다. 규모는 읍면당 2농가입니다.

전작물 생산 지도입니다. 보리, 콩, 감자 등 정부 보급종을 공급하겠습니다.

농토배양은 1,550점을 검정하여 농가별로 시비처방서를 발급하겠습니다.

375쪽, 도시근교 친환경 농업 육성입니다.

새기술 보급 지속 추진을 위한 심경로타리 보급 생산성 향상과, 연작장해 약제처리 실증시험 등 시범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노지채소로는 유황마늘 브랜드화와 양파 종구 개량사업 등을 농가 소득을 올리도록 추진하겠습니다.

376쪽입니다. 시설원예 보온시설 패키지화 사업과, 시설화훼 겨울철 난방비 절감 시범은 국비사업으로 각 1개소씩 성과를 올리겠습니다.

도시근교 틈새농업 육성입니다. 채소, 화훼, 특수작물 등 새로운 작물 보급으로 농가소득 향상에 주력하겠습니다.

하우스 보온덮개 자동개폐 시범사업은 비닐하우스 300동에 시설하여 일조시간 연장으로 생육 및 당도 상승과 작업시간 단축의 효과를 거두겠습니다.

377쪽입니다. 고품질 원예작물 생산용수 개발사업은 용수가 부족한 지역에 시설하겠습니다.

고품질 과일생산 과수 경쟁력 제고입니다. 신품종 우량묘목 보급과 기상재해 및 야생조수 피해에 대비한 과일 안정 생산기술 지도를 하고, 포도 비가림, 핵과류 조기재배 등 시설을 확대하겠습니다.

지역특화 시범단지 및 특용작물 재배 지도입니다. 참가죽단지 조성과 복분자 비가림, 천마 시설재배, 장뇌삼 생산 등 시범사업을 육성하겠습니다.

378쪽, 발효 사료용 미생물 생산 공급 시범사업입니다. 연간 미생물 배양액을 3,000ℓ 생산해서 축산농가 50호에 공급하겠습니다.

가축 해충방제 생력화 시범사업은, 축사 5개소에 모기퇴치등을 설치하여 특수전자파에 의한 모기질병 피해를 최소화하겠습니다.

안전 고품질 축산물 생산 시범사업은, 젖소농가에 착유환경 개선으로 원유 품질과 생산성 향상에 주력하겠습니다.

379쪽입니다. 한우 생산이력제 사업과 미생물 자가발효 시범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꽃묘 생산은 22종 35만 본을 생산하여 공급하겠습니다.

도시민 텃밭농장 운영입니다. 규모는 400가구를 대상으로 옥포, 화원, 다사, 가창 4개 지역에 운영하겠습니다.

380쪽입니다. 효과적인 농산물 마케팅입니다.

농특산물 쇼핑몰을 계속 운영하고 공동브랜드 포장재를 개발하겠습니다. 농축산물 공동브랜드 관리를 위해서는 홍보 전략과 상표 사용에 관한 조례 제정을 하겠습니다.

381쪽, 전문농업인 육성 및 농촌의 다원적 기능 강화입니다.

농업인 정보화 교육과 농업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화를 구축하겠습니다. 농산물 표준 소득조사를 실시하여 지역별, 작목별 경영진단과 분석을 하겠습니다.

382쪽입니다. 교육혁신 전문 기술교육 강화입니다.

농업인 교육은 생산기술에서 의식전환, 유통판매, 국제동향 등 다양하게 연중 확대 실시하겠습니다.

농촌생활의 과학화와 전문화를 위한 여성농업인을 육성하겠습니다.

농기계수리 및 교육입니다. 연간 150회 1,000대를 목표로 오지마을 위주로 농번기에는 공휴일 없이 상설 운영하겠습니다.

383쪽입니다. 미래지향적 선도농업인 육성입니다.

직능별 4-H회를 조직하여 진로지도와 과제활동 등 3대 교육행사를 내실 있게 추진하겠습니다.

농업경영인회와 농촌지도자회, 생활개선회를 육성하겠습니다.

품목별 농업인 해외연수를 추진하겠습니다.

384쪽입니다. 농촌생활의 다원적 기능 발굴, 보급, 개선입니다.

농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촌환경 조성으로 쉼터 설치, 체력단련실, 친환경 화장실, 농작업 능률 향상을 위한 보조구를 설치하겠습니다.

농촌자원 활용과 다원적 기능 발굴을 위한 농촌 건강 장수마을을 육성하고, 연근 상품화 가공시설 등 지원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소비자와 농업인의 상생교육을 강화하겠습니다.

농업인의 날에 행사를 추진하겠습니다.

이상 농업기술센터 2007년도 주요업무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정종태 농업기술센터소장, 수고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비슬산자연공원관리사무소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리담당 김무익 비슬산자연공원관리사무소 2007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드리겠습니다.

387페이지, 일반현황은 서면으로 대체하겠습니다.

393페이지, 주요업무 추진계획입니다.

395페이지, 쾌적한 숲속의 집 제공입니다.

숙박시설 일일점검을 통한 청결한 휴식공간 조성을 위하여 청소 및 방역을 철저히 실시하겠습니다.

다음은 얼음동산 조성입니다. 다양한 얼음조형물의 설치로 겨울철 이용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비슬산 자연휴양림만의 특색 있는 사업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사업비는 5,000만 원입니다. 기간은 2007년 12월에서 2008년 2월까지입니다. 내용은 얼음빙벽, 얼음동굴, 에스키모의 집, 고드름집, 얼음기둥, 투광등 19개소, 조명등 30개소입니다.

다음은 얼음조각품 전시회 개최입니다. 얼음동산 조성과 연계하여 얼음조각품을 현지에서 직접 제작, 전시함으로써 관광객들에게 겨울철 볼거리를 제공하고, 비슬산 자연휴양림을 전국적인 관광명소로 탈바꿈토록 하겠습니다. 사업비는 1,100만 원입니다. 기간은 2007년 1월 중입니다. 내용은 얼음조각 전문가를 초청하여 얼음조각품을 현지에서 직접 제작함으로써 얼음조각품에 대한 일반인들의 체험을 제공하고, 다양한 얼음조각품과 얼음동산이 조화를 이루어 비슬산 자연휴양림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부각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96페이지, 숲속의 작은 음악회 개최입니다. 한여름밤의 아름다운 추억을 제공하고 휴양림 이용객들에게 편안한 휴식공간 조성으로 다시 찾고 싶은 휴양림으로 깊이 인식시켜 관광달성 이미지를 제고코자 합니다. 사업비는 1,800만 원입니다. 기간은 2007년 7월에서 8월까지입니다. 내용은 통기타, 색소폰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연출하는 전문업체에 위탁함으로써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조성하여 휴양림 이용객들에게 휴식처로 제공코자 합니다.

다음은 신속한 입장객 매표입니다. 자동발매기를 활용한 매표로 신속하고 투명성을 확보코자 합니다.

다음은 휴양림 주 통로변 환경정비입니다. 휴양림 주 통로변을 매일 2회 이상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공중화장실 정기점검 확행입니다. 공중화장실 청결을 위한 담당공무원 책임제를 시행하겠습니다.

다음은 휴양림 계곡 청결운동 전개입니다. 휴양림 이용객들에게 자기 쓰레기 되가져 오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전국적인 관광명소를 위한 홍보입니다. 신문, 방송 등 홍보매체를 통하여 전국적인 관광명소로 홍보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97페이지입니다. 산림문화휴양관 조성사업입니다. 소요예산은 8억입니다. 사업량은 산림문화휴양관 1동입니다. 연면적은 지하 1층, 지상 2층, 734㎡입니다. 사업기간은 2007년 5월에서 10월까지입니다. 사업내용은 협소하고 노후된 관리사무실을 개선하고 전시실, 회의장, 창고, 체육시설 등 다양한 부대시설 확보로 휴양림 이용객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코자 합니다.

다음은 휴양림 야영테크 개체입니다. 소요예산은 3,500만 원입니다. 사업량은 야영테크 개체 10개소입니다. 사업기간은 2007년 3월에서 4월 중입니다. 사업내용은 여름철 야영장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수요가 해마다 급증하여 노후된 테크의 개체로 이용객들에게 휴식공간으로 제공코자 합니다.

다음은 398페이지, 발효화장실 개체 및 신설입니다. 소요예산은 1,100만 원입니다. 사업량은 개체 1동, 신설 1동입니다. 사업기간은 2007년 3월에서 4월 중입니다. 사업내용은 주 5일 근무제에 따라 이용객들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어 노후된 발효화장실의 개체 및 신설로 이용객들의 불편을 해소코자 합니다.

다음은 휴양림 연못 누수 방지공사입니다. 소요예산은 3,000만 원입니다. 사업량은 1개소입니다. 사업기간은 2007년 6월에서 7월 중입니다. 사업내용은 휴양림 쉼터 앞 연못의 바닥에 물이 고이지 않아 연못 누수 방지공사를 실시하여 휴양림 이용객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코자 합니다.

이상으로 2007년도 주요업무 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의장 정종태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3일간에 걸쳐 2007년도 주요업무 보고를 모두 받았습니다. 보고하신 담당관, 과ㆍ소장,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그리고 당초 자체심의가 내일로 계획되어 있습니다만, 군정질문의 건과 조례안 등 상정된 안건의 심도 있는 심의를 위하여 오늘 오후와 내일 자체심의를 하고자 합니다.

그러면 정회를 하고 오후 2시에 소회의실에서 회의를 계속하고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있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정회를 선포합니다.

(11시07분 회의중지)

(14시20분 계속개의)

○의장 정종태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계속하도록 하겠습니다.

회의 속개를 선포합니다.


2. 군정질문의 건

3. 대구광역시 달성군 차상위계층 국민건강보험료 지원 조례안(이석원 의원 외 7인 발의)

4. 대구광역시 달성군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전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5.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6. 대구광역시 달성군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7. 대구광역시 달성군 리장 정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8. 대구광역시 달성군 반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군수제출)

9. 대구광역시 달성군 건축물관리자의 제설 및 제빙 책임에 관한 조례안(군수제출)

10. 대구광역시 달성군 근로자복지관 민간위탁 운영 동의안(군수제출)

○의장 정종태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2항, 군정질문의 건, 의사일정 제3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차상위계층 국민건강보험료 지원 조례안, 의사일정 제4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5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6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7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리장 정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8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반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의사일정 제9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건축물관리자의 제설 및 제빙 책임에 관한 조례안, 의사일정 제10항, 대구광역시 달성군 근로자복지관 민간위탁 운영 동의안, 이상 9건의 안건을 일괄 상정합니다.

그럼 상정된 안건에 대하여 자체심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회의 진행에 능률을 기하기 위하여 심의내용은 속기록에 남기지 않고 심의하고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있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심의내용을 속기록에 남기지 않고 심의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먼저 전문위원께서 조례안 등 상정된 안건에 대하여 검토보고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

(검토보고서 끝에 실음)

(14시22분 기록중지)

(15시12분 기록개시)

○의장 정종태 좌석을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것으로 오늘 회의는 모두 마치겠으며, 내일 오전 10시에 제4차 본회의를 열어 상정된 안건에 대하여 자체심의를 계속하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5시12분 산회)


○출석의원(8인)
정종태서정우김기석김순호
채명지방종영이석원정명자
○출석공무원
부군수, 이재욱
행정관리국장윤주보
사회산업국장최재희
건설도시국장임정기
기획감사담당관, 김후진
총무과장, 강순환
세무과장, 김상철
회계과장, 권준하
문화체육과장김재환
민원지적과장김병일
정보통신과장전재욱
복지위생과장최상진
경제투자지원과장, 조이현
환경청소과장이영환
농축산과장, 구영복
허가민원과장박흥병
건설과장, 문지수
도로교통과장이기섭
재난안전관리과장, 이덕수
도시건축과장장덕수
공원녹지과장채수묵
보건소장, 박미영
농업기술센터소장, 서말희
○의회사무과참석자
사무과장, 김태중
전문위원, 곽용곤
전문위원, 전종율
의사담당, 김성모
지방행정주사보, 곽진호
속기사, 배진영

○첨부자료

[검토보고서]

맨위로 이동

페이지위로